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거꾸로 이용하면 서로 다른 종의 DNA에서 변화 정도를 분석해 공통 조상을 찾아내는 방정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인간과 침팬지가 유전적으 로 99% 이상 비슷하다는 사실도, 조류와 포유류가 어떤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는지도 이를 통해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장 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 환’이라는 수학공식이 들어가 있습니다.DNA 배열처럼 가시광선 파장보다 짧고 미세한 구조는 눈은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습니다. 푸리에는 이런 미세구조를 눈에 보이는 이미지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합니다. 파장이 짧은 X선을 ... ...
- DNA로 그린 몽타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등에서 몽타주를 얻을 수 있겠지요. 사진은 연구팀이 실험에 참가한 한 여성의 얼굴을 DNA를 활용해 몽타주로 그린 것이에요. 실제와 몽타주가 닮았나요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만나 5-FU로 활성화되기 전에는 매우 안전하다. 5-FU는 원래 항암제로 널리 쓰이는 물질로, DNA 복제를 방해해 암세포를 죽인다. 5-FU에 걸리면, 암세포라도 생존율이 20% 이하로 떨어진다.혹시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오인해 공격하지 않을까. 원리상 유전자조작 줄기세포가 분열이 활발한 세포(모낭세포,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다시 짠다는 의미에서 이를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이라고 부른다. 리프로그래밍은 DNA가 들어있는 세포핵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잘 알려진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 본문에서는 iPS로 표기)’가 대표적인 리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완전히 분화된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또다른 실험에서는 젊은 피가 근육을 강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 줄기세포의 DNA가 젊은 상태로 개선되면서 미토콘드리아와 근섬유가 건강해졌다. 그 결과 늙은 쥐는 이전보다 힘이 세지고 쳇바퀴에서 더 오래 달렸다. 인내심과 후각도 좋아졌다.연구진은 피 속의 단백질이 주된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다니엘 레브너가 만든 ‘DNA 오리가미 나노로봇’이다. 이 로봇은 긴 사슬 형태의 DNA로 이뤄져 있는데 외부 환경에 따라 접히거나 늘어져 원하 는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마치 종이접기(오리가미)처럼 로봇을 만 든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로봇들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서 서로 다른 역할을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나오는 등 구애 행동을 하며, 암컷 한 마리가 수컷 여러마리와 짝짓기를 한다. 그래서 DNA를 분석하지 않는 이상 아비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어미는 새끼가 옆에 붙어서 다니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다.제돌이(수컷), 춘삼이(암컷), 삼팔이(암컷)는 2011년 쯤에 성 성숙 표지인 배의 반점을 확인했다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돕는다. 그 뒤, 연구팀은 인공 염기쌍이 붙은 DNA를 대장균에 주입했다. 관찰 결과, 인공 DNA가 스스로 복제했으며 분열하는 대장균 세포에서 성공적으로 살아남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번에 개발된 인공 염기쌍을 이용하면, 독성아미노산을 단백질에 통과시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주로 행동과 생태 관찰로 이뤄졌기 때문에 더 자세히 밝히기는 어려웠습니다. 유전자나 DNA를 연구하는 기술이 부족했거든요. 그러던 1984년, 미국 스탠포드대 제레미 나싼스와 데이비드 호그네스 교수가 색각에 관여하는 ‘인간 옵신유전자’의 서열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이로써 영장류의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