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설날 전국 대부분 눈‧비…연휴 후반부터 강추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도로 살얼음 가능성이 높은 만큼 빙판
길
교통안전에 주의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23일부터는 북서쪽에서 차가운 대륙고기압이 점차 확장하겠다. 24일은 서해상에서 발달한 눈구름대가 유입되면서 전라권과 제주도를 중심으로는 많은 눈이 시작돼 2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가르쳐야 한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되었던 ‘융합과학’에서 새로운
길
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학자들에게나 필요한 과학 개념만을 가르치는 대신 현대 과학이 제시해주는 우주관·자연관·생명관을 가르치는 것이 융합과학의 목표다. 단순히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개념의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처분 방법이다. 심층처분을 하면 사용후핵연료가 방사성을 띠지 않을 때까지
길
게는 10만 년 이상 안전하게 묻혀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후핵연료가 담긴 연료봉을 여러겹으로 감싸는 작업이 필요하다. 연료봉은 지하의 고압을 견디기 위해 주철로 만든 처분용기에 담고 이를 5cm 두께 구리로 ... ...
[주말N수학]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수학동아
l
2023.01.14
소중한 대기지만,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통신
길
을 열어주지는 않는다. 사막의 신기루 현상은 뜨거운 여름날 도로 저 먼 곳을 쳐다봐도 흔히 볼 수 있다. 공기의 온도 차이가 빛의 굴절을 만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빛은 중력에 의해서도 휘지만,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KRISO 1동, 1층에 위치한 우리나라 유일의 빙해수조. 과학동아 DB 2022년 11월 18일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I동 빙해 ... 단장은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차세대 쇄빙연구선 안에서 만날 수 있
길
바란다고 인사를 남겼다 ... ...
로봇팔이 스페이스X 우주 왕복선 들어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장착된 로켓은 약 120m
길
이로 아폴로 프로젝트때 쓰인 새턴V 로켓의
길
이인 110m보다도
길
다. 지금까지 조립을 완료한 로켓 중 가장 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5년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스타십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스타십 개발일정은 차질을 겪고 있다. ... ...
북한 드론에 '화들짝'...전문가들 "한반도 전역 들여다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것이다.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는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약 1초의 지연이 생
길
뿐 빠르게 조종이 가능하다. 김 소장은 “드론으로 한국 전역을 들여다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이번 사태를 계기로 드론 대응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라고 주문했다. 군은 대응능력 ... ...
"KAIST 우주연구원, 우리별1호 귀환 이어 탐사 목적 소행성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기관이나 조직들과는 완전히 새로운
길
을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 단장이 새로운
길
로 제시한 것 중 하나는 미래 우주임무 설계다. 그는 “우주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진행 극 초기 이뤄지는 임무 개념 설계가 전체 프로그램 성패를 크게 좌우한다”며 “그간 미래 우주임무 설계에 대한 고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무대 뒤로 사라지는 것도 개선 연구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상용화로 가는
길
에서 기여도가 높은 개선 연구는 동시에 CD 지수가 큰 파괴적 연구 아닐까. 최근 학술지 ‘네이처’에는 지난 반세기 동안 논문과 특허의 파괴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실렸다. 파괴성을 ... ...
英 최초 위성 발사 '미완의 시도'..."발사체, 궤도 진입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힘이 적게 드는 만큼 발사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부각된다. 론처원은
길
이 21m인 2단 발사체로 500km 고도의 저궤도에 500kg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다. 버진 오빗은 고도 13.7km까지 올라간 후 론처원을 떨어뜨리고 로켓 엔진을 점화시키는 발사 방식을 택하고 있다. 공중 궤도 발사의 큰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