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 대신 실리콘 쓴 리튬이온전지 좋긴 한데…
2015.06.08
저장 용량이 10배나 증가하지만 충방전 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이 문제였다. 충전할 때
부피
가 최대 300%까지 커지면서 전지 구조가 손상되고 전기 저장 용량이 급격히 줄어든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활발하게 연구 중인 ‘나노금속틀’ 기술에서 충전 시 발생하는 구조 변화를 ... ...
‘힘세고 오래 가는’ 리튬이온전지 나온다
2015.05.28
증가해도 뚫려있는 구멍이 좁아지면서 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방전될 때는
부피
가 줄어들면서 구멍이 원래대로 돌아온다. 특히 전지를 사용할수록 리튬산화물이 생겨서 충전용량이 떨어지는데 게르마늄 금속과 탄소가 리튬산화물 분해를 돕는 장점이 있어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실험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진핵생물을 비교하는 그림을 보면 크기 차이가 별로 안 나지만 실제로는 진핵세포의
부피
가 1만~10만 배 더 크다. 진핵세포에서 호흡(에너지 생산)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세균에서 기원했다는)도 겨우 두세 개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수백 개가 들어있다. 즉 교과서에 있는 건 비교를 위해 ... ...
아이 등 이쁘다고 토닥토닥 했더니 전기 만들어져
2015.04.29
압전체가 들어간다. 하지만 압전체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축전기를 달면
부피
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초고용량 축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압전체 역할을 하는 격리막을 설치했다. 그 결과 압력을 가하면 전기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가 축적되는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않게 하는 데에는 유리하다. 뒤통수에 발달한 구멍은 파충류가 입을 닫았을 때 많은
부피
를 차지하는 큰 턱 근육이 튀어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파충류는 다른 척추동물들보다 더 크고 강력한 턱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 파충류는 발달된 색채 시력과 물을 아끼는 콩팥도 지녔다. ... ...
나노 물질 제대로 사용하는 길 열렸다
2015.04.26
등에 적용하려면 그 구조를 3차원 덩어리(벌크)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부피
가 큰 물질로 만든 나노물질은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상용화돼지 못했다. 나노구조가 갖는 좋은 성질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온 것이다. 박만수 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사진)는 알갱이들을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주기적인 껍질을 합성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선은
부피
에 비해 표면적이 크고 독특한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갖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용 광소자로 주로 활용된다. 반도체 나노선의 물리적 특성은 두께에 좌우되지만, 나노선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는 매우 ... ...
슈퍼기억력 노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02.19
세 가지 면에서 뇌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먼저 뇌 앞쪽의 대상 피질이 두껍고
부피
도 컸다. 대상 피질은 인내, 문제 해결, 기억력 등과 관련이 있는 부위다. ‘폰 에코노모 뉴런’도 다른 사람보다 다섯 배 많았다. 폰 에코노모 뉴런은 고래, 코끼리, 영장류 같은 동물에서 발견할 수 있는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안 되는 것 같지만 전체 물방울의 지름은 1400km에 가깝다. 지구 지름이 1만2700km이므로
부피
비로 대략 0.15%를 차지하고 있다. 질량으로 보면 약 0.03%다. 바다의 평균 수심이 대략 3.8km이므로 지표가 편평해 지구 전체가 일정한 수심으로 물에 덮인다면 3km 가까이 헤엄쳐 올라가야 하늘을 볼 수 있다. ... ...
이것이 합금의 ‘황금의 레서피’
2015.02.05
철강 소재(왼쪽)와 티타늄(오른쪽)을 저울에 올려 놓은 모습. 철강 소재 두 개가 같은
부피
의 티타늄 세 개보다 가볍다.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이 알루미늄 첨가 철강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철-알루미늄 화합물의 크기를 수십~수백 나노미터로 조절하면서 합금 전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해 주자 힘을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