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줄
끄나풀
면사
무명실
리본
현
뉴스
"
실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서울대 연구진이 개발한 3D 나노 프린터는 나노
실
을 한 층씩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원하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나노 크기에서도 3차원 ... 20일자에 하이라이트 연구로 소개됐으며 미국 화학공학회가 발간하는 ‘랭뮤어’ 올해 1월 28일자에도
실
렸다 ... ...
[기자의 눈] 미세먼지의 습격, 법이 제일 큰 문제다
과학동아
l
2014.03.25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호들갑을 떨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초미세먼지를 적게 마
실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은 찾아보기 어렵다. 환기설비에 대한 규정과 기준을 정해놓은 주택 건설 관련법은 그저 '탁상공론'에 불과할 뿐이다. 적어도 세대 규모나 임대·분양 여부에 관계없이 ... ...
국제화물 이제는 비행선으로 더 싸게 보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큰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HAV는 더 크고 더 많은 화물을
실
을 수 있는 비행선 ‘에어랜더 50’을 개발하고 있다. 이 비행선은 길이 119m로 미국의 전술수송기인 C-130보다 화물 공간이 270%나 넓다. 최대 시속 195km로 3500km를 날 수 있고 물이나 얼음, 사막 등 극한 환경에도 ... ...
벌꿀과 호박벌의 슬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일종인 클라트린에 둘러싸여 ‘피복 소낭’으로 변하는 과정을 표현한 그림을 표지에
실
었다. GRC는 생물, 화학, 물리 분야 전문가들을 한데 모아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주요 이슈를 토론하기 위해 193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콘퍼런스이자 이 행사를 주관하는 비영리 과학 단체의 ... ...
나로우주센터 한국형발사체 개발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역시 완공 단계로, 조만간 가동될 시설이다. 이곳에서는 75톤급과 7톤급 터보펌프의
실
추진제인 '액체산소'와 '케로신' 등에 대한 성능 점검이 이뤄지게 된다. 김승조 원장은 “내년이면 나머지 설비들도 모두 가동이 가능할 정도로 공사가 진척될 예정”이라며 “추진기관 시험설비가 ... ...
줄기세포 분화촉진법 서울대 연구팀 첫 개발
동아일보
l
2014.01.08
이 구조물은 두께 55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미세한 나노입자들이 이어진 ‘나노
실
’이 모여 만들어진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지난해 6월 29일 미국 하와이 학회 출장 중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한 ‘천재 나노과학자’ 서갑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당시 41세)의 마지막 프로젝트여서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내는 깃털을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케라틴 단백질이 나노크기 수준에서 공이나
실
같은 모양으로 분포해 있는 스펀지 같은 구조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 예일대 연구진들은 지난 2012년 학술지 ‘영국계면학회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조류 230종에서 얻은 297개의 깃털 견본을 X선을 ... ...
“올해 출연硏 화두도 창조경제가 1순위”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안에 건축설계 마무리 하는 등의 과제를 남겨두고 있는 등 산적한 과제 때문에 아직 내
실
다지기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해양연구원은 강정극 원장의 임기가 5개월 남짓 남은 상황이어서 구체적인 신년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지난 해 새롭게 출범한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과학 잡지와 화제의 전자책이 1+1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한편 동아사이언스는 지난 10월부터 잡지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등 매월 다른 종류의 전자책을 무료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해왔으며, 앞으로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을 더욱 ... ...
한국형 발사체 2020년에 개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원 가량 늘어난 1조 9572억원으로 책정됐다. KSLV-2는 2019년 12월 시험 발사를 거쳐, 2020년 6월
실
용위성을 싣고 우주로 발사될 예정이다. KSLV-2 발사가 성공하면 2020년 말에는 달궤도선과 달착륙선이 자력으로 발사된다. 문해주 미래창조과학부 우주원자력정책관은 “한국형발사체를 이용해 2020년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