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연구팀은 현재 포트투갈과 시베리아 사이, 노르웨이와 이란 사이에 거주했던 조상들의
유전자
분석도 진행 중이다.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조현병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뿌리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덜 먹는 습관, 뇌 건강도 지켜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효율을 높여 수명 연장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OXR1
유전자
를 바탕으로 뇌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특정한 화합물을 확인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 ...
고대인 유골서 자가 면역질환·당뇨 치료 단서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생활을 했는데 가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감염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돌연변이가 오늘날에는 다발성 경화증 발병 위험을 높이고 있다. 현대로 오면서 위생적인 환경이 갖춰지면서 감염병 발생 위험이 크게 줄어들었다. ... ...
여드름 치료하는 똑똑한 박테리아…합성생물학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사례로도 평가된다. 구엘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박테리아의
유전자
를 교정할 수 있는 기술 플랫폼을 개발했다"며 "현재는 여드름 치료에 집중하고 있지만 향후 면역 조절 등 다양한 용도의 '똑똑한 박테리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북쪽에서 왔어요"…남극 외래종 ‘겨울각다귀’ 기원은 북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연구팀은 2017~2020년 세종기지를 포함한 5개 기지에서 겨울각다귀 성체를 채집하고
유전자
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북극의 스발바르, 폴란드의 동굴 집단, 캐나다의 테라노바 국립공원 집단이 기원지임을 확인했다. 겨울각다귀는 북반구 동굴 등에 서식하는 곤충으로 15~20년 전 처음 남극 ... ...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연합뉴스
l
2024.01.08
모두 지난 1년 이내에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받았다. 이들 중 치매 위험을 높이는 변이
유전자
(ApoE4)를 가진 사람은 없었다. 이들에게는 6개월 동안 매달 한 차례씩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아두카누맙(제품명 아두헬름)의 정맥주사 투여와 함께 혈뇌장벽이 일시적으로 열리도록 치매와 관련된 뇌 ... ...
전이성 유방암 '항암제 내성' 생기는 원인·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비교 분석한 결과, PEG10
유전자
의 발현 유무가 가장 큰 차이라는 점이 확인됐다. PEG10
유전자
때문에 CDK4/6 억제제에 내성이 생긴다는 것. CDK4/6 억제제 ‘입랜스’에 내성을 보이는 전이성 유방암 동물 모델을 개발해 PEG10 RNA 치료제를 병용 투여한 실험에서는 PEG10 RNA 치료제 단독 투여 시 종양 ... ...
한국인 교육 성취도 높은 유전적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점도 이번 연구의 의의로 평가된다. 유전 변이를 종합해 개인의 특성을 예측하는 다중
유전자
점수(polygenic score) 분석에서도 인구의 다양성을 고려했을 때 그 성능이 향상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원홍희 교수는 “국제협력을 통해 미흡했던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유전 연구를 최대 규모로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
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애가 타는 것은 환자와 보호자들이다. 이주혁 소아희귀난치질환환우회 대표는 "
유전자
가위 치료제는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환아와 보호자들의 마지막 동앗줄과 같다“며 정부의 관심을 호소했다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중에서 사이토신(C)이나 아데닌(A)에 메틸기(-CH3)가 붙는 현상이다. 메틸화된 사이토신은
유전자
의 발현을 억제해 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DNA 메틸화가 중요한 이유는 생물의 노화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2013년 미국 수학자 스티븐 호바스는 DNA 메틸화 정도와 노화 사이에 밀접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