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완벽하지는 않지만 균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주 약간의 불균일 덕분에 우주에서
은하
와 별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했다. 빅뱅으로부터 4억 년이 흐른 뒤의 일이다. 이석천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사는 “인류가 예측하는 우주 역사의 굵직한 흐름은 이론과 실험값이 잘 맞아떨어지고 ... ...
[채널A] 초기 우주 생성 과정, ‘우주팽창’ 가설 첫 입증
채널A
l
2014.03.19
. 대폭발 직후 1경 분의 1경 분의 1초보다 짧은 시간에우주가 급속히 팽창하며 지금의
은하
와 행성들을 만들어냈다는 게 우주팽창 가설입니다. 가설이었던 이 과정이인류 역사상 처음으로사실임이 밝혀졌습니다. 우주가 급팽창할 당시 질량을 가진 물체가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생긴 힘즉 ... ...
34년을 건너… ‘코스모스’ 美 사로잡다
동아일보
l
2014.03.11
고무시킨다”고 인사말을 했다. 타이슨 소장이 우주선을 타고 지구 궤도를 넘어
은하
계를 종횡무진 누비는 대목에선 현란한 최신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활용됐다. 지구가 태양을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하다 7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화형된 이탈리아 과학자 조르다노 브루노의 선구자적인 삶은 ... ...
올해 대형 태양흑점 폭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흑점활동 최대주기 다음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날아오는 양성자도 인공위성 고장의 주된 원인 중 하나다. 흔히 우주선(宇宙線)이라고 부르는 이 양성자는 전자보다 훨씬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부딪히면 인공위성의 피해는 막대하다. 마땅히 ... ...
우리
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인데 1100광년서 초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연구위원은 “우리
은하
의 지름이 10만 광년인데 어떻게 1100광년 떨어진 위치에 외부
은하
와 초신성이 있겠느냐”며 “국내 언론들이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 사실을 검증도 하지 않은 채 보도했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 ...
역사와 함께 호흡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더해준 자신의 연구 결과를 직접 설명한 책이다. 이후 많은 학자들이 실시한 외부
은하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위대한 성과를 허블 본인에게 듣는 재미가 새롭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제공 ◆ 하룻밤에 읽는 과학사(하시모토 히로시 著, 랜덤하우스코리아 刊) 기존 인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과학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2.28
우주의 모습을 좀 더 명백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
은하
에서 발견된 이 별은 ‘SMSS J031300.36-670839.3’라고 명명됐으며 지구에서부터 거리는 약 6000광년이다 ... ...
적외선으로 찍은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4.02.27
영상정보를 수집할 계획이다. 또 이 위성에 장착된 적외선 우주관측카메라로는 우리
은하
에 있는 고온 가스의 기원과 우주 초기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 ...
사랑하면 더 많은 별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대략 1000억 개의 별들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남반구천문대(ESO)에서 바라본
은하
수의 장관. 수많은 별들이 쏟아질 것 같다. - ESO 제공 그렇다면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을까. 2003년 호주국립대 천문학자들이 우주에 있는 별들의 수가 7 뒤에 0이 무려 22개나 붙는 만큼이나 된다는 ... ...
'별그대' 김수현 고향별 실제로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한다. 예를 들어 ‘KMT-2014-BLG-0123Lb’라는 이름이 붙었다면 KMTNet에서 2014년에 우리
은하
중심부(BLG) 영역에서 찾아낸 123번째 중력렌즈 현상(L)을 분석해 발견한 첫 번째 외계행성(b)이라는 뜻이다. 마지막 행성번호는 영어 소문자로 a를 빼고 b부터 순서대로 이름을 붙인다. 사실 KMT로 시작하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