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2,889건 검색되었습니다.
OLED 소재로 AI반도체 소자 개발…정보 저장·연산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학습시킨 후 분류한 결과 정확도가 98% 이상으로 나타나 향후 고성능 AI 시스템에
응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윤영 교수는 “지금까지 소재 개발에 집중해온 기존 AI 반도체 연구 한계를 극복하면서 이미 양산성이 검증된 소재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IGZO ... ...
반창고 대신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개발된 세포 스티커 기술을 활용하면 여러 겹으로 세포층을 적층해 3차원 조직 제작에
응용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여러 종류의 세포를 활용해 다종 세포가 복잡하게 패턴화된 인공 조직도 손쉽게 제작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정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계면 간의 ... ...
[주말N수학] 원주율에 '진심'인 사람들...소수점 100조 자리까지 계산
수학동아
l
2023.03.11
그 자리를 지키고 있지요. 원주율 계산의 역사를 돌이켜보며 토마스 켈러 스위스 그리슨
응용
과학대학교 연구원을 인터뷰했습니다. Q. 연구팀과 본인 소개를 부탁드려요.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및 모의실험을 연구하는 우리 팀은 과학자 6명으로 구성됐어요. 저는 지난 20년간 정보기술 분야에서 ... ...
[과학게시판]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킥오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이달 10일까지 대전 컨벤션센터(DCC)에서 '원자력·방사선
응용
이동 무인 자동화시스템'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국제회의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회의에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이스라엘 등 6개국이 참여했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우즈베키스탄 건설주택부 ... ...
태양광·물 있으면 청정에너지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린 수소 생산 외에도 태양광 전극을 사용하는 다른 청정 기술에도
응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표준연은 후속 연구를 통해 태양광 전극의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산소 결함 양과 그 원리를 밝힐 예정이다. 김안순 표준연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연구 ... ...
체르노빌 떠돌이개 유전특성 규명..."방사선 포유류 노출 영향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5
동물과 인간이 현재와 미래에 어떻게 살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광범위한
응용
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카리 에켄스테트 미국 퍼듀대 수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대형 포유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답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 ...
세계 최고 안정도 6G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가장 우수한 안정도를 선점한 것에 의미가 있고 테라헤르츠 핵심 소자 평가 등에
응용
돼 테라헤르츠 대역 표준 확립에 도움될 것ˮ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1일 게재됐다. 광 시간 표준 기반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의 원리를 나타낸 ... ...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특성을 이용한 다중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응용
재료 및 계면’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현대 컴퓨팅 기술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데이터 규모가 커지면서 인간 뇌를 모사해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을 높이려는 ... ...
반도체 소자 속 미세 움직임 찍는 초고속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김정원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반도체 소자 속 미세 움직임과 구조를 찍는 초고속 카메라를 개발했다. 기존에 관찰하지 못했던 복잡한 물리 ... 차세대 계측 기술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에 지난 15일 공개됐다.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통로를 통해 해마 내 신경세포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을까. 연구팀은 광견병 바이러스를
응용
해 제작한 신경회로망 표지 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했다. 광견병 바이러스 유래 신경회로망 표지 벡터는 신경세포들간 연접부위인 시냅스를 넘나들며 이웃한 신경세포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이 바이러스에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