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30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식품안전은 물론 겉보기에 인공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
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통적인 육종방법이 더 빨리 목적을 달성할 수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우선 상징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해서 성공
가능
성이 높은 분야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방안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KISTEP도 바이오선진화를 위해 일조할 것 이 원장은 KISTEP도 바이오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보조를 맞추겠다고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전 LG에서 태양전지 사업 타당성을 검토할 때, 태양전지 가치사슬 상에서 소위 알박기가
가능
한 한 독점기업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 회사에 투자해야지 생각만 해놓고 결국 못했다. 그 회사는 지금 주식가치가 엄청 높아져 있다고 한다. 이 위원장은 “융·복합 연구 잘 하는 사람은 재테크도 잘 할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달려있다”면서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농업 발전 없이는 불
가능
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김 청장은 민간의 과감한 참여도 주문했다. 그는 “정부는 공적인 기능에 집중하고 민간에 맡길 것은 과감하게 맡겨야 한다”고도 말했다. 정부는 민간의 이해관계나 갈등을 조정할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병원을 찾아야
가능
했던 당뇨환자의 검진서비스가 휴대전화를 가지고 다니는 것만으로
가능
해지는 기술이어서 시장에서 호평 받고 있다. 김 원장은 “이미 ETRI는 10년 전부터 바이오 융복합 기술 개발을 위해 힘써왔다”면서 “BT융합연구부에서는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암 및 심근경색을 감지할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출자된 것이 바이오나노연구센터에서 개발된 바이오 진단 기술이다. 정밀한 당뇨측정이
가능
해 1조원 규모의 당뇨 측정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나노바이오센서 기술 역시 이전했다. 이 기술이 보편화 된다면 3~4일 씩 걸리던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후보 물질이 임상 시험에 들어가도록 투자를 해야 해요. 더 많은 씨앗을 뿌려야 상용화가
가능
한 후보들이 많아지는 셈이니까요.” 그는 “신약 후보 물질이 임상 시험까지 가도록 하는 중계 연구는 생명연 같은 출연연이 인프라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리가 튼튼해야 신약 상용화에 더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있다고 평가했다. IT기술로 대용량의 데이터처리가
가능
하기 때문에 BT분야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좋은 연구결과들을 내놓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농식품기술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정 원장은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낮은 편이라는 것이 문제다. 대학 R&D에서 기초연구를 풍성하게 해야 산업적으로 파급될
가능
성도 크기 때문. 전 센터장은 “대학이 중점적으로 해야 할 것은 기업에서 하지 않지만 국가에서 필요한 기초연구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대학에서도 응용개발연구를 하는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그렇다”면서 “고질적인 문제인 ‘소통’의 문제를 해결해야 올바른 정책 결정이
가능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의원은 “특히 생명공학계는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투자대비 성과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생명공학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수긍할 수 있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