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07
조제프 카즈미에르차크
교수
와 독일 다름슈타트공대의 스테판 켐페
교수
가 터키의 반 호수에서 화산암석과 석회질 뾰족탑을 발견했는데, 여기에 포함된 미세한 특징이 유명한 화성운석 ALH84001에 나타나는 미생물 같은 구조와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들 암석과 뾰족탑은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07
물 1L당 접촉면적도 스프링클러가 2m2 이하인데 비해 물 분무는 2백m2이나 된다. 유
교수
는 지난 2년 동안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물 분무 노즐을 개발, 한전 변압기실에 설치 운용중이다.포그텍사는 새로 건설되는 프랑스의 유로터널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유조차 등 인화성물질 운반 차량은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07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의 총 책임을 맡고 있는 KAIST 사회학과 윤정로
교수
는 “지금까지 ELSI 연구의 1단계가 마무리됐다”며 “우리나라 생명공학이 세계적 수준인 만큼 이에 걸맞는 ‘ELSI’의 위상을 위해 앞으로 좀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06
두께가 25km에 달한다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영국 런던대 지구과학과 니모
교수
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스’에 투고한 이 결과는 유로파의 적도 근처에 있는 실릭스 크레이터(충돌구덩이)를 연구해 측면도를 만든 후 얼음의 탄성도를 고려해 추정한 것이다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6
문제가 있다.일본 2050년 실용화 목표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쿄토대 마쓰모토 히로시
교수
를 중심으로 우주태양광발전 기술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파 무선송전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졌다. 1983년 우주과학연구소의 로켓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50km 고도 이상의 전리층 내에서 1차 로켓에서 2차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연세대 천문우주학과의 변용익
교수
에 의해 기획된 작품이다. 기획 의도에 대해 변용익
교수
는 “한국 천문학의 투자나 인력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남들이 못하는 새로운 연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을까 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고안해낸 연구가 광역 탐사다. 전하늘을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06
가졌다. 강연에 이어서 과학음악회가 개최됐다. 관객들은 전주대학교 음악과 은희천
교수
의 지휘에 따라 펼쳐지는 글로리아 스트링 오케스트라 15인의 클래식 음악 연주를 감상하며 음악과 소리의 메커니즘에 대한 과학적 해설을 들었다. “요한 스트라우스 피치카토 폴카는 손가락으로 현악기의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06
수용체가 발견되면서 제5의 맛으로 등장한 것이다.최근 미국 퍼듀대의 리차드 마테스
교수
는 인간이 지방(triglyceride)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고(高)지방식품이 무(無)지방식품 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또한 제6의 맛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06
컬럼비아대 하우어트 박사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공학물리 및 재료공학 연구소 자보
교수
와 함께 많은 개체들로 이뤄진 모델 사회에서 발생하는 협력현상에 대해 통계역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연구한 결과를 지난해 9월 물리학저널인 ‘피직스리뷰레터스’에 발표했다.하우어트와 자보는 공공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06
과학자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큰 도움을 받는다”며 이 프로그램의 취지를 말했다. 이
교수
는 또한 “이 프로그램뿐 아니라 다른 WISE의 활동들이 앞으로 청소년의 이공계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고 여성과학기술인 양성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기 바란다”며 희망을 밝혔다.WISE는 2학기부터 찾아가는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