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높일 수 있다. 정 단장은 “초고속 약물 스크리닝(screening, 감지)을 위한 스마트 바이오칩
개발
연구도 서두르고 있다”며 “나노수준에서 생체분자를 정확하게 감지해내는 원천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에너지 팍팍!”무릎 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보행연구소는 이렇게 근육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 소형 발전기를
개발
했어요. 발전기를 달고 평소처럼 걸은 결과 한쪽 다리에서 휴대전화 10대를 사용할 수 있는 5W의 전기를 모을 수 있었다고 해요. 아직은 무게가 1.6㎏으로 무겁다고 하니 앞으로 무게는 가볍게, 효율은 더 높게 ... ...
“암, 꼼짝 마!”나노캡슐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치료까지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
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현택환 교수팀이
개발
한 나노캡슐은 속이 비어 있어 안에 약물을 담아 암세포에 전달할 수 있어요. 게다가 나노캡슐의 껍질은 암세포를 찾아 내는 조영제로 쓰일 수 있어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일이 동시에 가능하답니다.이러한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되어 이러한 불합리를 시정하기 위해 입출력을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처리기(채널)가
개발
됨으로써 다중프로그래밍이 출현하기에 이르렀다 황화알칼리를 방치 하든지 또는 황화알칼리와 황을 용융하여 얻는다 황화물 수용액에 황을 녹여도 얻을 수 있다 알칼리토금속의 다중황화물도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애용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학계와 산업계는 리튬이온전지를 지금까지
개발
된 어떤 휴대전지보다 월등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보고 있다.리튬이온전지는 같은 용량의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보다 훨씬 더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전기 용량도 다른 2차전지의 2배에 이른다. 전기를 많이 쓰는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감정 등 거의 모든 인간의 중요한 고등 정신기능에 직접 관련돼 있다”며 “해마 BCI가
개발
된다면 인류의 사회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암기 '짱' 두뇌 설명서-2구성 : 자석 달린 TMS 휴대용 기기사용법 : TMS로 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사용대상 : 기억력, 공정한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발견한 항생제 페니실린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부상자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다. 그 뒤
개발
된 여러 항생제는 사람들이 세균에 감염돼 병이 났을 때 효과적인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항생제를 먹다보면 속이 불편하거나 심지어 설사가 날 때도 있다. 왜 그럴까.항생제를 복용하는 사람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달수 박사팀은 조력발전소의 효율을 높이는 수문 설계 기술을
개발
했다. 수문은 조력발전을 위해 쌓은 방조제에서 물이 들어오는 통로로 바닥의 높이나 구조에 따라 유량이 크게 변한다. 이 박사는 “여러 가지 조건을 변화시키며 수문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했더니 수문 바닥의 모양만 변화시켜도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않다. 그는 그저 자신이 연구한 결과가 차곡차곡 쌓여 후대의 생물학자나 의학자, 신약
개발
자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는 마음이다.미국 유학시절 단백질의 ‘휘황찬란한’ 분자구조에 반해 구조생물학을 시작했다는 조 단장은 그때 품었던 초심(初心)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 ...
“무서운 주사기,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점막면역연구실 권미나 박사팀이 주사기 없이 혀 밑으로 백신을 접종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
했다고 밝혔어요.연구팀은 생쥐의 혀 밑으로 독감백신을 접종하고 관찰했어요. 그 결과 생쥐의 폐에서 강력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다는 걸 확인했죠.혀 밑을 이용한 백신 ... ...
이전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