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전기자동차의 핵심 기술은 배터리다.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달릴 수 있는지가 전기자동차 성능의 척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휴대전화 배터리 폭발 사건으로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휴대전화 배터리보다 1000배 이상 용량이 큰 배터리를 사용하기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물질의 등장으로 응집물질물리학 연구 패러다임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발견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예측하고 발견하는 일종의 ‘게임’처럼 변해가는 중이다. 2월 22일, 강원도 용평에서 열린 양자물질 심포지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두 명의 ‘헌터’를 만났다.◀Xi Dai 시 다이중국과학원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언제 어디서나 인류와 함께한 음악. 늘 곁에 두고 함께 해서 음악의 존재 이유를 의심해 본 적이 없다. 그런데 미국의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음악이 생존이나 번식과 별 관계가 없다며 ‘귀로 듣는 치즈케이크’라고 말했다. 우리는 왜 이토록 음악에 열광할까.누구나 안다. 세상에 뭐 하나 쉬운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8세기 초 유럽인은 여성이 수학과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1704년 창간한 영국의 수학잡지 ‘숙녀들의 수첩’은 “요즘 여성들은 요리보다 수학을 더 좋아한다”며 식재료 보관법이 아니라 수수께끼와 수학 문제만 싣기로 했다. 이 시기에 이름을 떨친 여성도 수학자 마리아 아녜시처럼 수학 분야에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겨울잠에서 깨어난 곰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2월 말 경이면 겨울잠에 들었던 곰들이 하나둘 잠에서 깨어나기 시작해요. 이 곰들이 가장 먼저 찾는 식물이 있대요. 바로 곰취예요. 곰취는 곰이 잘 먹는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요. 또 잎이 곰발바닥을 닮아 곰취라고도 하지요.사실 곰취라는 이름은 ‘곰이 사는 깊은 산에서 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우산이끼의 몸은 ‘엽상체(葉狀體)’로 이루어져 있어요. 엽상체는 ‘잎 엽(葉)’, ‘형상 상(狀)’, ‘몸 체(體)’가 합쳐진 단어로 ‘잎의 형상을 한 몸통’을 말해요.‘잎 엽(葉)’은 ‘풀 초(艹)’ 머리와 ‘나뭇잎 엽(枼)’을 합한 한자예요. 식물의 잎을 뜻하는 한자에 ‘풀 초’자가 붙으면서 ... ...
- [과학뉴스] 헤어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내려진 3월 10일,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머리에 붙은 ‘헤어롤’ 떼는 것을 잊은 채 출근해 화제가 됐습니다. 헤어롤은 머리숱이 없거나 가라앉았을 때 풍성해 보이는 효과를 내줘 남녀노소가 애용하는 미용 아이템이죠. 플라스틱이나 스펀지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로봇 플리피, 햄버거 가게 취업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인 주문기 키오스크에 이어 인간의 일자리를 넘보는 인공지능 로봇이 햄버거 매장에 설치됐다. 미국 IT매체 ‘지디넷’은 “미소로보틱스 사가 햄버거용 고기 조각을 요리하는 로봇 플리피를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패서디나에 있는 캘리버거 매장에 3월 8일부터 도입했다”고 보도했다.플리피는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 - ‘임창환의 퓨쳐&바디’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Transcendence2014년 개봉한 SF 영화 ‘트랜센던스’에는 주인공인 윌 박사가 자신의 뇌를 다운로드해서 슈퍼컴퓨터에 업로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놀랍게도 ‘트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봄이 오면 가장 이기기 힘든 것이 있다. 바로 스르르 감기는 눈꺼풀이다. 어젯밤 잠이 부족한 걸까. 사실 사람마다 필요한 잠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으로 너무 많이 잤다거나 잠이 부족하다고 정의할 수 없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개인이 느끼기에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경우, 자연 ... ...
이전6176186196206216226236246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