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재일과학자 현광남, 세계 컴퓨터과학자 랭킹 일본 10위에 올라
연합뉴스
l
2022.03.21
연구자 순위'에서 재일동포 현광남(77) 박사가 일본 내 10위에 올랐다. 리서치닷컴은
학술
검색 서비스인 구글 스칼라와 마이크로소프트 아카데믹 그래프에 있는 세계 컴퓨터과학자 9천700여 명을 대상으로 'h지수'(h-index)를 토대로 순위를 매긴다. 허쉬 지표로도 불리는 'h지수'는 연구자가 발표한 ... ...
서로 다른 2차원 재료 대면적 조립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크기의 원자 단위 두께 박막을 조립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 레터스’ 지난달 4일자에 온라인을 통해 먼저 공개됐으며, 지난달 23일 발간된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원자로 구성된 결정 박막은 두께나 원자 구조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 ...
전문가들 "건강한 5~11세 코로나 백신 기대효과 떨어져…고위험군은 적극 권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고위험군의 소아는 중증과 사망 위험이 2~3배 높아
학술
단체와 정부에서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며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체 연령 중 소아 발생률이 가장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지난 40년간의 코로나바이러스 추이를 봤을 때 지역, 시기, 유행여부와 ... ...
코로나19 발발, 월요병보다 4~5배 스트레스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초 전 세계 소셜미디어 게시물의 감정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발발한 이후인 2020년 1월부터 5월까지 약 100개국 트위터에서 6억5400만 개의 위치가 확인 가능한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조사했다. 자연어 처리 ... ...
냄새 찾아가는 벌레 담은 ‘웜온어칩’ 폐암도 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21일(현지시간)부터 열리는 미국 화학회(ACS) 춘계
학술
회의에서 연구결과를 공개한다. 작은 칩 형태로 만들어진 데서 ‘웜온어칩(Worm on a chip)’으로 불리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향후 초기 폐암세포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암의 조기 진단은 효과적인 ... ...
돌연사 주범 심부전 발생위험 높이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김형규 인제대 심혈관대사질환센터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22일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유럽심장저널’에 온라인으로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심부전은 심장 기능 저하로 신체에 혈액을 원활히 공급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이런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률 2위에 이르는 ... ...
발전효율 떨어뜨리는 먼지 걱정 없는 태양광 패널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물청소를 하지 않아도 태양광 패널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기술을 지난 1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태양광 패널 위에 미세전류가 흐르는 투명층을 덧대 전기장을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 전기장이 생기면 태양광 패널을 오염시키는 먼지나 다양한 물질 ... ...
코로나 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 모든 변이에 효과… 내성 우려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분석한 결과 팍스로비드의 약효가 떨어질 만한 돌연변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국제
학술
지 ‘셀 리서치’에 18일 공개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 빠르게 확산하면서 각국은 치료제를 활용해 유행을 극복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발병을 확인하는 즉시 복용할 수 ... ...
암세포 주변에서만 모양 바꿔 침투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만들어 세포막을 뚫고 침투해 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 항암치로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새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일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지’에 실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도시화, 전세계 토끼풀 진화 방향 정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1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인근에 피어 있는 토끼풀(클로버)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네잎 클로버를 찾기 위해 근처 풀숲을 헤맨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토끼풀은 잔디밭이나 산자락 등 풀이 자랄 수 있는 곳이면 도시든 시골이든 어떤 환경에서나 잘 ... ...
이전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