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
과학동아
l
200309
: 꼼짝마!
우리
캔 나라에 침입한 이유가 뭐냐?슬기 : 오빠, 경찰도 캔 모양으로 생겼어.
우리
이제 어떡하지?모험이 : 길을 잘못 들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절대로 침입한 것이 아닙니다.결국 모험이와 슬기는 경찰서에까지 끌려왔다. 캔 경찰과 한참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데 캔 아저씨와 캔 ... ...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08
12년인 목성의 절반이다. 이 수치는 지금까지 밝혀진 1백여개의 태양계 밖 행성계 중에서
우리
의 태양계와 가장 가까운 값이다.이번 발견은 지구의 남반구인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에 있는 구경 3.9m 망원경을 통해 모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미국, 호주, 영국의 다국적팀은 태양계에서 95광년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08
마르스의 이름을 붙였나보다. 과거에는 그 특유의 붉은 빛이 불길한 징조였지만, 오늘날
우리
들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설레임과 은은한 아름다움을 느낀다.맨눈으로 화성을 관측할 때에는 먼저 그 위치와 밝기에 주목한다. 화성의 색상을 다른 별들과 비교해보고 밝기 또한 비교해본다. 다른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08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 야심에 찬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우리
나라도 차세대 진공기술 수출국으로 부상할 수 있다.머지않아 실현될 극청정 진공기술이 다른 분야와 어울렸을 때 일상생활의 모습은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 상상해보자.두루마리 화면과 극소형 로봇내시경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08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한편 갯벌은 흔히 자연의 콩팥이라고 불린다.
우리
몸 속에서 발생한 노폐물을 거르는 콩팥처럼 육지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을 깨끗이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갯벌에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일은 진흙이나 모래 속에서 사는 미생물이 담당한다.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08
때 3차원 구조 형성은 이미 쉬운 문제가 돼 있어야 한다 (적어도 세포에게는). 다만
우리
가 아미노산 서열을 어떻게 모델링해야 그렇게 쉬운 문제가 되는지를 모를 뿐이다.진화의 과정을 통해 임의의 상황에서 시작하더라고 쉽게 강력한 한 끌개로 귀착되는 성질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들이 살아남아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08
중심부에서 벗어났고, 행성의 원래 별은 나이를 먹어 백색왜성이 됐다. 현재 이 행성은
우리
태양에서 천왕성이 위치하고 있는 거리 정도에서 중성자별과 백색왜성을 돌고 있다.최고령 행성과 별은 처음 중성자별을 만났을 때 또다른 동반별과 경쟁을 벌였던 것이다. 마치 전갈자리의 안타레스처럼.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08
있다. 이제는 도시의 모세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LNG)의 저장탱크가 그 예.
우리
가 밸브만 열면 언제나 가스를 쓸 수 있는 것은 어딘가에 LNG가 저장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지하 LNG 저장탱크의 규모가 상상을 초월한다. 지름 73m, 높이53m의 크기로 용적이 20만kL나 된다. 물이라면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08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는 압력이 대기압의 40%로 낮아진 저진공 상태다. 이에 비해
우리
별 1호가 있는 1천3백km 상공은 압력이 ${10}^{-8}$Pa인 초고진공상태다. 정지위성 궤도인 3만6천km 상공에서는 압력 ${10}^{-11}$Pa인 극고진공에 도달한다. 여기에는 1㎤ 안에 기체 분자가 3천5백개 정도만 존재한다. 이때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08
조직이 파괴돼 해빙 후 원상복구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냉동인간의 부활은 아직
우리
가 바라는 미래의 일이지만 세포와 조직을 냉동시켜 영구적으로 보관한다는 개념은 오늘날 의학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세포나 조직을 냉각시키면 신진대사가 떨어져 산소요구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