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
여럿
여러
d라이브러리
"
다
"(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표적 킬러앱이
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
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06. 디지털 우주의 ... ...
대학 교수에게 물리 과외받기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최대한 스릴을 즐기려면 어디에 앉아야 할까요?"대학 입시에서 심층면접과 논술의 비중이 한층 높아지는 가운데 만일 대학 면접에서 이런 문제가 나왔
다
면 어 ... 뒤에 앉은 사람이 가장 빠르게 추락할 뿐 아니라 가장 긴 구간에 걸쳐 짜릿한 속도감을 맛볼 수 있
다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
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5월 19일 낮(현지시간) 세계의 눈과 귀가 영국 런던 과학미디어센터로 일제히 집중됐
다
. 지난해에 이어 또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을 낸’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 발행 이후 보도자료가 한국어로 먼저 나온 적은 처음. 실감나는 생명공학 ‘한류 열풍’이
다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장 많았
다
. 100가지 기술 중에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훗날 개발할 것도 적지 않을 것이
다
.순위 ---------- 기술 ---------- 국내 실현 시기1 인공위성 추적 및 감시 기술 실용화 20132 1km 규모 기상관측 위성기술 개발 20143 생물 이용 산림생태계 복구기술 실용화 20154 고에너지 밀도의 대형전지용 소재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는? 아마도 ‘뇌’일 것이
다
. 뇌는 수천억개의 뉴런(신경세포)이
다
시 수천조개의 시냅스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다
. 현재 수준에서 뇌에 대한 이해는 아직 초 ... 최근에는 수많은 구성요소로 이뤄진 사회나 생명현상을 설명하는데도 응용되고 있
다
... ...
분자도 뭉치면 강하
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촛불을 든 사람이 하나둘 모여든
다
. 어느새 광화문 사거리를 가득 메운 촛불.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모인 수많은 사람들이 한 목소리로 이라크 파병 ... 조립된 나노공. 막대 사이의 좁은 공간에 유기화합물을 넣으면 꼼짝없이 반응을 일으킨
다
. 의약품이나 화장품 합성에 획기적인 방법 ... ...
검은 조직 '까마케롬
다
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호에 그림자를 이용하여 세계를 정복하려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네가머래도
다
비처’의 정체가 밝혀졌
다
. 그림자 문제를 낸 것은
다
름 아닌 아홉 살꼬마. 하지만 그 뒤에는 거 ... 않고 특수 비행선을 타고 사라져버렸
다
.“언젠가
다
시 만날 것이
다
! 썰렁 홈즈! 그날까지 기
다 ...
3 배움에도 때가 있
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직장인 안기억씨는 새봄을 맞아 영어학원에 등록했
다
. 얼마 후 있을 승진시험에 대비도 하고 외국인 바이어를 만날 때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겠
다
는 야심찬 포부에서
다
. ... 고로 존재한
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때가 있
다
4 TV, 기억을 잃어버리
다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있는 것으로 드러났
다
”며 “이를 군수품 규격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
다
. 방해전파에 취약하
다
는 점과 통신거리가 너무 짧
다
는 것도 과제로 남았
다
. 연구팀은 차세대 롭해즈의 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 중이
다
. 아직 국방부는 롭해즈의 추가 파병계획을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는 웃는 듯 마는 듯 신비한 미소로 유명하
다
. 혹시 모나리자의 신비한 미소는 인간의 뇌 때문일까. 최근 '뇌, 아름
다
움을 말하
다
'를 펴낸 ... 각각의 뇌는 반대쪽 눈의 근육을 활발하게 만들고 시선은 그 쪽으로 치우친
다
. 뇌를 알면 삶이 깊어진
다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