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03
훨씬 비싸 한달에 30만원 수준이 보통이며, 어린이 영어 대학이라고 간판을 붙인
곳
은 50만원에 달한다. 유치원 보내랴, 미술학원 컴퓨터학원 보내랴, 게다가 영어학원까지 보내려니 보통 사람으로선 엄두도 못낼 일이다. 그렇다고 모르는 척 하기엔 우리 아이만 뒤떨어지는 것은 아닐까 고민스럽다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냉난방과 환기를 위해 설치해 놓은 많은 환풍통로들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땅 속 깊숙한
곳
의 큰 방들에 모아둔 식물 찌꺼기나 쓰레기들이 썩으면서 나오는 뜨거운 공기는 환풍통로를 타고 올라가 굴 밖으로 빠져나간다. 동시에 산소가 풍부한 찬 공기가 다른 통로로 들어와 환기와 함께 실내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03
각크기는 보름달의 2만분의 1. 이 정도의 각크기를 구별할 수 있으려면 1만km 떨어진
곳
에서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좌우 불빛을 구별할 수 있는 성능을 지녀야 한다. 지구 반지름이 6천3백78km이므로, 1만km는 지구 지름에 조금 못미치는 거리다. 만일 베텔쥬스를 태양 위치에 갖다 놓는다면 이 초거성(red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03
제대로 하려면 주변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해야 한다.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곳
은 신문 과학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과학도서 등으로 자신의 목적에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요즘 컴퓨터통신으로 하이텔이나 천리안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 될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03
만들어지는 중앙 해령은 열수광화용액의 분출현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곳
은 지구의 신비를 밝히고 열수광상을 개발하기 위한 선진국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1960년대에 홍해의 해저 퇴적물에서 열수작용으로 형성된 다금속 이질광상(여러 금속이 포함돼 있다는 뜻)이 처음 발견됐다.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03
중순까지 이
곳
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
곳
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가 일정지점까지 뛰다 한 마리씩 날아오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동해에서 관찰되는 혹고니 가족이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03
대부분 기체로 이뤄져 있고 중심에는 암석질의 작은 핵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만일 그
곳
에 물이 존재한다면 뜨거운 홍차의 온도쯤일 것이다.천문학자들은 그동안 외계행성의 존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여 왔다. 그 좋은 예로 태양계 밖 행성을 탐색하는데 대형 광학망원경과 세계적으로 유명한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03
여력이 있다면 경주나 인사동거리 자갈치시장 등 한국인의 정서가 물씬 묻어 있는 여러
곳
도 모두 소개하고 싶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모험심 많은 '세계적 대부'"반드시 있어야 할 정보라면 제공자가 누구인가는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것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해 외국에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개선해줄 것을 공식요청한 밴팅에게 매클로드는 차갑게 대했다. 그러자 밴팅은 다른
곳
으로 떠나겠노라고 맞섰고 결국 매클로드가 밴팅의 요구를 수용하는 선에서 문제는 해결됐다. 후에 밴팅은 이것을 매클로드가 인슐린 연구에 흥미가 없었던 증거로 내세웠다.1921년 11월 생물학과 세미나에서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03
있다.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의 핵심기술은 얼마나 목적 수행을 잘 하는가, 얼마나 깊은
곳
에서 작동되는가에 있다.1986년 우리나라는 한국 최초의 유인탐사정을 개발한 바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2백50m급 3인승 '해양 250'이 바로 그것으로 현재 해양연구소에서 활용하고 있다.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