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초"(으)로 총 6,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의 밥상은 과연 안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2.17
- ②3D 프린팅 기술 부상 ③힉스 입자 존재 공식확인 ④나로호 발사 성공 ⑤美연구진, 세계 최초 인간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⑥사상 최악의 태풍 하이옌 발생 ⑦미래창조과학부 출범 ⑧보이저 1호 태양계 이탈, NASA 공식 확인 ⑨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 10호 성공발사 ⑩3월20일 언론사&정부기관 ... ...
- 암세포 직접 방문해 파괴하는 박테리아 나노로봇동아사이언스 l2013.12.16
- 암세포도 찾아가 약물을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박종오 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박테리아를 이용한 의료용 나노 로봇, 일명 박테리오봇을 개발해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2월 ... ...
- 태양흑점 폭발, 우리 기술로 다 찾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3.12.16
- 매 시간마다 흑점 폭발 가능성을 알려주는 ‘태양활동 자동분석 모델(ASSA)’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달부터 실제 관측업무에 본격 활용하고 있다. ● "객관적이고 정확한 예보로 피해를 최소화하라!" 예전에는 예보관들이 위성 자료를 토대로 주관적으로 판단해 흑점 폭발 확률을 계산했다. ... ...
- 원전 문제 3년 연속 과학기술 최고의 관심뉴스 불명예동아사이언스 l2013.12.16
- 수상하게 된 소식이 올랐으며, 올해 1월 나로호 발사 성공이 4위, 미국 연구진의 ‘세계 최초 인간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소식이 5위에 선정됐다. 그 외에 10위에 포함된 뉴스는 △사상 최악의 태풍 하이옌 발생 △미래창조과학부 출범 △보이저 1호 태양계 이탈, NASA 공식 확인 △중국 ...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발명왕 의사선생님’ 이희영 박사동아일보 l2013.12.16
- 중국전문 외교관 여소영씨 - 진시황이 이걸 알았다면…노화막는 바다의 불로초 - 세계최초 고양이 권투…발명왕 에디슨의 작품?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 콧대높은 그들, 삼성과 디지털시대 ‘활짝’ 열다동아일보 l2013.12.16
- IT) 업체와 협업을 하게 된 것이다. 빈 오페라하우스는 6월 삼성전자와 함께 세계 최초로 ‘라보엠’ 공연 실황을 초고화질(UHD) 영상으로 제작해 오페라하우스 안에 설치한 UHD TV로 상영한 데 이어 10월에는 ‘빈 오페라하우스 앱(응용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삼성 스마트TV 이용자라면 세계 어느 ...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2.15
- 때문이다. ● ‘측정’이 죽음을 확정한다 우석과 영은(김옥빈 분)이 인류 최초의 타임머신 ‘트로츠키’를 타고 성공적으로 출발한 시점만 해도 연구소는 축제 분위기다. 비극은 우석이 폭발한 연구소를 목격하고, 사고순간이 담긴 CCTV영상을 들고 현재로 돌아오면서부터 시작된다 ... ...
- 中, 美·러시아 이어 세번째 달 착륙 성공 국가동아사이언스 l2013.12.15
- 예정이다. 위투는 장착된 달탐사 레이더를 이용해 달 지면 내부를 인류 달 탐사 역사상 최초로 탐사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미래융합연구실장은 “레이더의 극초단파로 지하를 관측하는 기술은 지구에서는 토양 내 수분 때문에 사용하기 힘든 기술”이라며 “달의 지표는 완전히 ... ...
- [2014 대학가는 길]6441명 줄어드는 좁은門… 선택형 수능, 최대 변수동아일보 l2013.12.13
- 70% 이상이어서 정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다. 또 수시 미등록 인원의 충원이 가능해지고 최초 합격자나 미등록 충원기간의 추가 합격자 모두 등록 의사와 관계없이 정시에 지원할 수 없게 돼 정시에 대한 수험생의 부담감은 더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중위권 합격선 예측 힘들어 올해 정시모집의 ... ...
- "창조경제 성공하려면 정치인은 좀 빠져야..."동아사이언스 l2013.12.12
- 생각하는가 묻자 망설이지 않고 이렇게 답했다. 1970년 tRNA(transfer RNA)의 3차원 구조를 최초로 밝혀낸 김 교수는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후보로 주목 받았던 구조생물학의 대가다. 1988년에는 암과 관계가 깊은 ‘Ras’ 단백질의 3차원구조를 밝혀내 항암제 연구 개발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 ...
이전619620621622623624625626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