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중생대 최대의 도마뱀, 고향은 한반도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발견되는 몸 특징을 이용해 이 도마뱀이 어떤 도마뱀과 가장 가까운지 연구했다. 그
결과
왕도마뱀상과에 속하는 ‘몬스터사우루스류’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왕도마뱀상과에는 몬스터사우루스 외에 ‘코모도왕도마뱀’ 등이 속한 왕도마뱀류가 포함돼 있다.새로 발견한 도마뱀에는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11월까지 10개월가량 소셜버즈(블로그·트위터 등 SNS 상에 언급된 말) 61만 건을 분석한
결과
를 보면 골목길을 언급한 버즈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5% 이상 늘었다. 골목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지도 앱을 이용해 골목길을 ‘스마트하게’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멸종하는 데 70년 이상 걸린다. 소나무재선충병의 연간 확산 거리가 3km라는 연구
결과
에 기반한 계산이다. 해발 700m 이상까지는 매개곤충이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단기간 내 소나무가 멸종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게다가 총력으로 방제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멸종 위험이 훨씬 낮다. 서재철 녹색연합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발휘해요. 지난 2004년 서울대학교 캠퍼스에 지어진 까치의 둥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 까치는 둥지의 모양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마치 비행기의 날개처럼 둥지가 바람이 부는 방향에 유선형이라 바람의 저항을 줄여 주어 훨씬 더 안정적인 ... ...
[Knowledge] 천국보다 낯선, 고독보다 낯선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도리어 낯선 사람과의 교류가 이미 알고 있는 식상한 친구와의 교류보다 더 즐겁다는
결과
도 있었다.남들과 금세 친해지는 외향적인 사람과 달리 내성적인 사람은 낯선 이와의 교류로 더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까. 이 역시 그렇지 않다.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에게 각각 처음 보는 ... ...
[수학뉴스] 세포가 프랙탈 모양이면 암 위험!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프랙탈 모양의 세포가 특정 시기에만 등장한다는 사실을 밝힌 건 처음입니다. 이 연구
결과
는 영국의 물리학 전문 학술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 3월 11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나비의 입에도 황금비율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있는 것이 수액을 빨아먹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이 연구
결과
는 미국의 곤충학저널인 ‘아메리칸 엔토몰로지스트’ 온라인판 3월 6일자에 실렸습니다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얻은 에너지량’에서 ‘성장하며 사용한 에너지량’을 빼서 나무의 이득을 구했다.그
결과
울창한 숲에서 자라는 나무는 부피 성장보다 길이 성장에 에너지를 많이 투자해, 나무 높이가 높았다. 키가 작으면 광합성을 하기 어려우므로 주변 나무와 경쟁하며 나무 높이를 높여야 이득을 양수로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조합되도록 만든 거예요. 원칙은 우리가 정했지만, 유전자가 서로 조합돼 만드는
결과
는 우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태싯그룹은 관객이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게임처럼 눈에 보이는 요소를 소리와 결합시킨다. 컴퓨터 자판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마다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 대응하는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보충하지요.최근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이런 색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
가 발표됐어요. 그동안 바다 민달팽이가 광합성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동물인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식물처럼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잘 몰랐거든요. 연구팀은 바다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