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Q. 간단한 자기소개와 한국우주연구원 소개 부탁합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상률입니다. 항공공학 공부를 했고 연구소에 ... 화려한 분야는 아닙니다. 항공우주분야가 나에게 맞는지 깊이 생각해보고, 진정으로 하고 싶다면
시작
하십시오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다.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람의 뇌를 연구하기
시작
했다. 사람의 뇌는 뉴런이 1000억 개로 쥐의 1000배 수준이다. 2023년까지 사람 뇌를 시뮬레이션하는 게 최종 목표다. 마크람 교수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휴먼 브레인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사했다. 그의 논문에 따르면 당시 일흔 둘이었던 그는 실험 이틀째부터 효과를 보기
시작
해 계단을 뛰어오르고 장시간 실험에도 끄떡없게 됐다고 한다. 또 오줌이 날아가는 거리가 25%나 늘었다고 적었다. 1889년 6월 그는 파리에서 열린 생물학회에 실험 결과를 보고했다. 그 뒤 개와 기니피그의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나타나는 방법은 없을까?” 그는 한 방울에서 다양한 색깔이 나타나는 방법을 찾기
시작
했다. 포토샵으로 색이나 무늬를 그려 넣는 방법도 있었지만, 그는 작품을 인위적으로 고치기 싫었다. 결국 그는 빨대 주변에 조그마한 빨대를 여러 개 둘러싸 특별한 도구를 만들었다. 가운데 커다란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공통점은 없을까. 1990년대 중반 미국 시카고대의 물리학자들이 구겨진 종이를 연구하기
시작
한 계기도 바로 여기에 있다.구겨진 종이 속에 산이 숨어 있다당시 시카고대 물리학과 박사과정 학생인 알렉스 롭코브스키는 박사논문으로 특별한 주제를 선택했다. 그것이 ‘구겨진 종이의 물리학’이다.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킴이 활동 아이디어를 내고 활동한다. 처음에는 학교 안에서 휴지 줍기 캠페인 등을
시작
했다. 각 반마다 에너지 도우미를 뽑아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환경을 생각하도록 이끌었다. 그러다가 인근 지역까지 환경 보전 캠페인을 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이런 활동이 우리학교 학생들만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보다 나아진 장치가 계속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이의
시작
인 고막은 외이에 가까이 있고 매우 얇아서 외부 충격에 약하다. 나이가 들면서 고막의 탄력도 떨어져 진동에 둔감해지기 때문에 난청이 잘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 인공고막이식이 있다.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들여온 부품을 조립한 것이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었어요. 문제는 우리가 만들 때부터
시작
됐어요. 실패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태평양 심해에 가라앉은 로켓 파편을 찾기도 했어요. 만약 파편을 찾지 못하면 왜 실패했는지 알 수가 없어요. 그러면 똑같은 문제가 또 발생할 수 있거든요.”아사다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없을 정도로 병이 심각할 때가 많죠. 우리는 우선 가슴과 배 부위 피부 밑에 지방이 차기
시작
해요. 그 후 꼬리 쪽으로 지방이 쌓이죠. 몸이 무거워지면 움직이기 싫잖아요. 조금만 움직여도 피곤하고 숨쉬기도 어려우니까요. 이건 몸속에 쌓인 지방이 횡격막을 압박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한 번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래이스롭 교수는 지난달 25일 다이나모3m를 액체 나트륨으로 가득 채웠어. 이제 실험을
시작
하는 건 시간문제야. 과연 래이스롭 교수의 실험이 지구자기장의 신비를 풀어줄 수 있을까? 실험결과가 나오면 꼭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알려줄게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