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믐달에서 보름달까지 변하는 '내 방 안의 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그만 달 모형이다. 크기는 작지만 단순한 모형이 아니다. 그믐달부터 보름달까지 12
가지
달의 변화를 방에서 즐길 수 있으며 플라톤, 케플러, 코페르니쿠스 등 주요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까지 관찰할 수 있다. 웬만한 스탠드보다 더 세련된 불빛은 방의 분위기를 근사하게 만들어준다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구성해 이를 구성하는 방법 이에 따르면 뇌파는 1Hz에서 50Hz 이상의 넓은 주파수 영역을
가지
고 있으며 그 분포는 뇌의 상태가 달라질 때마다 변한다고 알려져 있다비선형 항이란 y=ax와는 달리 x², x³ 혹은 1/x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항을 말한다 이 경우 y값은 x값의 변화에 비례해서 변하지 않고, 복잡한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빨리 기름을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휘발성분이 날아간 원유는 크게 두
가지
성분으로 나뉜다. 고분자 지방족 탄화수소와 고분자 방향족 탄화수소가 그것. 지방족 탄화수소는 세포막을 이루는 성분과도 비슷해 비교적 쉽게 분해가 되고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의 종류도 많다. 문제는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찍는 동시에 발사통제동 옥상에 있는 원격자료수신장비로 발사체의 내부정보 700여
가지
를 받는다.발사 25초 뒤 KSLV-Ⅰ이 남쪽으로 방향을 틀자 제주추적소에서도 레이더를 이용해 발사체를 뒤쫓기 시작한다. 이어 200여 초 만에 제주도 근방 상공에서 위성을 감싸고 있던 덮개(페어링)가 둘로 나뉘어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명체를 만드는 꿈. 이들은 ‘생명 2.0시대’를 그리고 있다. 인공생명체 만드는 두
가지
방법지구가 수십억년 동안 만든 생명의 버전을 1.0에서 2.0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합성생물학’이라는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에 도전하고 있다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제시한 요소는 유전자 115개를 포함하고 있는 염기 11만 3000개 길이의 최소유전체와 여러
가지
생명현상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생화학 장치들,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중지질막 등이다.물론 실제로 이 설계도를 바탕으로 인공세포를 만들려면 앞으로도 넘어야할 산이 많다.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쥐에 시험해 이상이 있다면 해당 성분이 인간에게도 해를 끼칠수 있어 임상단계로 넘어
가지
않는다. 쥐는 ‘자신의 몸을 불태워 세상을 밝히는 촛불’처럼 인간을 대신해 실험대에 올라 몸을 바쳐 과학발전을 이끌고 있는 셈이다.만약 과학사에 쥐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과학자들은 쥐가 과학발전의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全方向式無線標識)가 보급되기 전의 방식이며 가시식 코스와 가청식 코스를 각기 2개씩
가지
고 있는 무선항로 표지이다 가시식 코스는 좌우침(左右針)의 지시로, 가청식 코스는 A-N에 의해 식별된다 미국에서는 제2차 대전 말기 이후 VAR이 운영되어 왔으나 VOR로 점차 바뀌고 있다 기상위성 등에서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정한 수면주기 때문에 생기는 시차는 모두 생체시계와 관련된다.리블러 교수는 몇
가지
조절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합해 ‘리프레실레이터’(repressilator)라는 인공생체시계회로를 만들었다. ‘억제진동자’라는 뜻의 이 유전자회로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스위치인 프로모터(promoter)와 이를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대한 감각을 완전히 잃지는 않는다는 위의 실험결과를 잘 설명해준다. 그런데 이들 네
가지
센서는 차가움에 반응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냉(冷)센서를 찾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치약의 감초, 멘톨2002년 두 연구팀에서 거의 동시에 냉센서를 찾아냈다. 열수용체를 발견한 줄리우스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