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주기율표 113번 ‘니호늄’ 발견한 日 가속기 현장 가보니
2016.06.24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라온의 출력이 RIBF보다 높은 만큼 정밀공학, 항공
우주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中에서 제일 잘 나가는 ‘스타 과학자’ 10인
2016.06.24
중국 국가
우주
과학센터장은 개발과 탐사에 치중했던 중국의
우주
개발 프로그램에 ‘
우주
과학 선도전략’을 도입한 인물이다. 그의 전략대로 중국은 지난해 암흑물질 탐사위성을 세계 최초로 발사했으며, 8월에는 세계 최초의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을 발사할 예정이다. 추이웨이청 ... ...
“러시아에서 산불 나면 韓 초미세먼지 농도 높아져”
2016.06.21
미국항공
우주
국(NASA) 지구관측위성 '모디스(MODIS)'로 2014년 7월 25일 촬영한 동아시아 지역 영상(왼쪽). 기류 분석을 통해 시베리아 산불의 한반도 유입 경로를 분석한 결과(오른쪽). 좌측 그림에서 붉은색 점이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며 산불 발생 지점부터 한반도 상공까지 회색으로 된 띠 부분이 ... ...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중력작용을 하지만 빛은 내지 않아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질로, 보이지는 않지만
우주
의 27%를 차지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가 은하 주위를 초속 약 200㎞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데도 튕겨 나가지 않는 이유도 암흑물질의 상호작용 때문이라는 것이 물리학자들의 분석이다. 지우타스 ... ...
[단독/프리미엄 리포트] 서해 화력발전소·서울발 초미세먼지 전국으로 퍼져
동아사이언스
l
2016.06.20
관계자로 구성된 ‘한미 공동 대기 질 연구(KORUS-AQ)’ 연구진은 5월 2일~6월 12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연구용 항공기 ‘DC-8’를 포함한 항공기 3대와 인공위성 5기 등을 총동원해 한국 대기 질을 처음으로 조사했다. 본보는 미국 측 연구진으로부터 자료를 입수했다. 초미세먼지는 특히 서해안에 ...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
2016.06.18
불가능한 체계라는 문제가 있다. 최상위 소득 계층만이 살게 되는 영화 엘리시움 속
우주
정거장 - 소니픽쳐스 제공 ●기술 혁명에 가져올 거대한 변화에 어떻게 대처? 기본소득은 개념적으로 그러한 미래의 디스토피아적 상황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모든 이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최소한의 소득을 ... ...
北 잠수함 잡을 ‘잠수함 킬러’ 해상작전헬기 국산화 박차
동아일보
l
2016.06.17
한국항공
우주
산업(KAI)이 북한 잠수함을 잡을 ‘잠수함 킬러’인 해상작전헬기의 국산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KAI는 16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무기 전시회 ‘유로사토리’에서 유럽 항공기 회사 에어버스와 공동으로 해상적전헬기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KAI와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2016.06.16
데이터 분석과 장비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등 기존 임무를 이어간다. 이 단장은 “넓은
우주
를 뒤지는 만큼 다양한 종류의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며 “중력파 천문학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 ...
드론 공격 막는 도심형 레이더 개발
2016.06.15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레이더 분야 국제 학술지지인 ‘IEEE 항공
우주
및 전자시스템 회보(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온라인판 5월 26일자에 게재됐다.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받지 않는 만큼 ‘투명 물질’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릴지도 모른다”고도 덧붙였다.
우주
전체에서 암흑 물질은 우리가 그 정체를 알고 감지할 수 있는 물질보다 5배 이상 더 많다. 하지만 과학계는 아직 암흑물질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발견한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