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더 남는 장사였던 것입니다. ‘공짜 점심은 없다’는 이런 상황에서 나온 말입니다. 1942년 미국의 정치 저널리스트 폴 맬런이 처음으로 이 말을 사용했습니다. 나중에 SF작가 로버트 하인라인이 소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에서 이 표현을 써서 더 유명해졌고,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책 ... ...
- [2017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지적인 크리스마스 파티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풀이까지! 그날, 파티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메리 크리스MATH 파티’가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습니다. 새로운 강연과 더 재미있는 일정으로 돌아왔지요. 파티는 2부로 나뉘어 진행했습니다. 1부는 젊은 수학자의 흥미로운 대중 강연이 있었고, 2부에서는 두 팀으로 나뉘어 각각 퀴즈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살 원인을 분석해 자살예방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그 결과 2012년에는 10만 명당 15.8명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28.5명으로 과거 핀란드와 비슷한 수준으로 자살률이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2009년 처음 심리부검이 도입됐고, 보건복지부 산하 ...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016년 7월 목성에 도착한 탐사선 주노는 궤도를 돌며 목성의 대기를 조사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항공우주국 연구팀은 주노 탐사선이 목성 대적점에 관한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어요. 대적점은 목성의 남반구에 위치한 타원 모양의 거대한 소용돌이 구름이에요. 보통 붉은색을 띠고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벼워질까요? 그렇다면 영혼의 질량은 대체 몇 g일까요? 가설1) 영혼의 질량은 21g?!1901년, 미국의 의사였던 던컨 맥두걸은 한 요양원에서 영혼의 질량을 재는 실험을 진행했어요. 맥두걸 박사는 사람이 죽으면 몸에서 영혼이 빠져나가고, 이 과정에서 영혼만큼의 질량이 줄어들 거라고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018년은 무술년 ‘황금 개띠’의 해예요. 무술년의 ‘무(戊)’가 황금색을, ‘술(戌)’이 개띠를 나타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겨울 들판에도 황금 강아지를 닮은 식물이 있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금강아지풀이에요. 농촌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강아지풀과 비슷 하지만, 꽃차례에 송송 나 ...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지진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와 미국 공동연구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지진파가 도착하기 전에 중력 변화가 지진계에 감지됐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P파로 지진을 ... ...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앞바다 해산에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이름이 붙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2016년 취항한 이사부호 탐사팀이 발견한 수중화산의 이름을 ‘키오스트 해산(KIOST Sea Mount·아래 오른쪽 사진의 빨간 네모)’으로 정했다고 1월 16일 밝혔다. 이 해산은 박요섭 책임기술원 등 연구진이 지난 해 2월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터널의 60%는 이런 1km 미만의 터널이다. 또한 2000년대 이전에 건설된 터널은 ‘피난갱’이 750m 간격으로 떨어져있다. 연기가 잘 빠져나가지 않는 구조이고, 출구가 한쪽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일한 대비책이다. 에어커튼은 화재 시 연기 확산을 제어하는 것이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 후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 ...
이전6226236246256266276286296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