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뉴스
"
약
"(으)로 총 14,8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광형 KAIST 총장 “전공 10% 덜 공부하더라도 책 한 권 더 읽는 환경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대학 캠퍼스에 외국인이 10% 이상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KAIST는 전체 구성원의
약
7%가 외국인으로 글로벌 대학에서는 적은 편이다. 넥슨, 아이디스 등 제자들을 국내 벤처 1세대로 키워 ‘벤처 대부’로 불리는 이 총장은 ‘1랩1벤처’도 강조했다. 그는 “연구실 하나가 벤처 하나를 ... ...
WHO “백신과 혈전 인과관계 그럴듯하지만 확인 더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WHO는 “전 세계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약
2억 명 가운데 혈전 발생 수는 적다”며 “면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드문 부작용은 코로나19 감염과 그로 인한 사망을 예방하는 백신의 잠재성과 맞대어 평가돼야 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다음 주 다시 ... ...
美 페르미랩 실험에서 새 입자 존재 가능성 첫 확인...표준모형 흔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사실에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4.2시그마는 통계적으로 우연히 발생했을 가능성이
약
4만 분의 1이라는 뜻이다. 실험에서 신뢰도가 3시그마(99.7%)면 ‘힌트’의 범주에 들어가고, 5시그마(99.99994%) 이상이면 ‘발견’으로 인정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7일자에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 논란으로 꼬인 국내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2분기 도입 예정인 모더나와 존슨앤드존슨의 의
약
품 부문 계열사 얀센, 노바백스의 백신은 아직 도입 시기와 물량이 정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시기별 접종 대상자를 조정하거나 접종 대상 연령 조율 등 여러 선택지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 ...
원자력 안전 국제 공동 연구 참여할 국가대표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중앙연구원 소장, 김신환 한국전력기술 단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이번 컨소시엄 협
약
으로 국내 원자력 관련 6개 기관은 연구협력을 강화하고 기관별 분담금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국제공동연구에 소요되는 총 비용 400만유로(
약
54억원) 중 절반인 200만유로(
약
27억원)를 국내 컨소시엄이 ... ...
미 CDC "영국발 코로나 변이, 미국서 가장 지배적 종 올라서"
연합뉴스
l
2021.04.08
하루 평균 확진자는 6천600여명에 달했는데 5주 전에는 1천350여명에 그쳤었다. 5주 새
약
5배로 늘어난 것이다. 미시간주는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왕성하게 퍼지고 있는 곳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1만6천275명 중 미시간주에서 나온 게 1천649명이다. 플로리다주(3천192명) 다음으로 많다. 마이클 ... ...
백신 확보 대안으로 떠오른 '수출차단'…알고보면 '양날의 칼'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글로벌 공공재인 백신을 두고 계
약
을 어기며 수출을 제한하면 경제 분야를 포함한 보복성 조치는 물론이고 엄청난 대외 신뢰도 하락도 감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수리모델링 전문가들, 한달 전부터 600명대 확진 경고했다…‘4차 유행’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캡처 7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지난 1월 10일 이후
약
석 달 만에 600명대를 기록하면서 ‘4차 유행’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날까지만 해도 아직은 4차 유행에 접어들지 않았다고 진단했던 방역 당국은 이날 신규 확진자가 668명으로 집계되자 하루 ... ...
"오늘 화성의 낮 최고기온은…" NASA 사상 첫 화성 일기예보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크레이터가 게일 분화구보다 대기가 더 깨끗하다고 밝혔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약
3700km다. JPL은 MEDA의 기상 관측 자료가 조만간 화성에서 첫 비행에 나서는 소형 헬리콥터 ‘인지뉴이티’의 비행 준비 자료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내년에는 화성의 먼지 입자가 햇빛과 어떤 작용을 ... ...
태양 활동주기가 태평양 엘니뇨·라니냐 현상에 영향
연합뉴스
l
2021.04.07
태양의 활동은 태양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흑점의 크기와 증감을 토대로
약
11년마다 반복하는 것으로 파악돼 왔다. 수백 년간 사용돼 온 방법이지만 기준이 모호해 언제 시작되고 끝났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었으며 이때문에 지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도 ... ...
이전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