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우주끈은 길고 얇은 물체로 우주생성 초기 물질들이 시공간의 구조에서 끈의 모양으로
만
들어진 것이다. 시공간의 다른 영역들이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될 때 결정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형성되는 갈라진 틈과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계속 반복된다. 달 표토의 수명이 4억 년인 반면에 이토카와는 지하 수십 cm에서조차 800
만
년 밖에 되지 않는다. 지금처럼 100
만
년에 수십 cm씩 표면 침식이 계속된다면, 1억 년 내지 10억 년 안에 이토카와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우주의 풍운아인 소행성답게 이토카와는 우주의 바람(태양풍)과 함께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식물에서는 잎의 탈리과정이 진행돼 며칠
만
에 잎이 거의 다 떨어져 앙상한 줄기
만
남았다. 그러나 에틸렌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변이체 자작나무는 잎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프랑스의 시인 레미 드 구르몽의 시처럼 ‘낙엽은 버림받고 땅 위에 흩어져 있다’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은 때로는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말로 끝나고 있다. 비아그라가 많은 부부를 행복하게 한 것처럼 그의 연구도 그
만
한 가치가 있을까. 한때 심리학이 가장 관심 없어 하는 주제가 사랑과 행복이었던 것처럼, 과학은 인류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에 너무 무관심했는지 모른다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날 특강을 한 백성희 서울대 교수는 “항상 도전하라. 때로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지
만
문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해 학생들의 박수를 받았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결과에 관계없이 여러분 모두가 챔피언”이라며 “사이언스 챌린지는 앞으로 과학에 ... ...
10
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루를 개어 볼에 붉게 칠했다.고대인들은 어떻게 화장을 했을까. 최근 과학자들이 10
만
년 된 ‘고대화장품’을 발견해 ‘사이언스’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노르웨이 베르겐대 고고학과 크리스토퍼 헨쉴우드 박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300km 떨어진 블롬보스 동굴 바닥에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
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걸음마를 배웁니다. 유치원도 가기 전에 어떻게 달리는지 저절로 알아냅니다.하지
만
로봇은 기계입니다. 사람처럼 저절로 걸음걸이를 배울 수 없으니 과학자들이 모든 것을 개발해 주어야 합니다. 로봇이 사람의 생활 속에 들어와 함께 살아가기를 꿈꾼다면, 그래서 더 쾌적한 미래 생활을 꿈꾼다면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반도체의 날(10월 29일)을 기념해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지금까지 산업체에 있었던 사람들
만
수상했던 것과 달리, 처음으로 교수가 받았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그가 지난 20년간 최고의 반도체 엔지니어가 될 수 있었던 비결과 노하우, 열정을 닮고 싶다면 ‘소자공정 연구실’에 도전해보자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비교해 조사했어요. 그 결과 일반적인 사람은 하루에 38㎏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만
, 이산화탄소를 줄이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14㎏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답니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이려는 노력으로 아주 많은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지요. 그런데 방법을 잘 모르겠다고요? 지금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나지 않았어요. 그래서 오보에를 기준으로 음을 맞추면 어느 정도 일정한 음 높이를
만
들 수 있었지요. 그래서 초기 오케스트라는 연주 전 오보에의 음을 기준 삼아 조율을 했고, 이 전통이 지금도 남아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오케스트라의 탄생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2악장 -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