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자라는 요람 역할을 한다. 이제 갓 태어난 아기별이 강보에 쌓인 채 세상 빛을 보려고
작은
눈을 살짝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파란 샘은 어떻게 생겼을까말머리성운 주위는 왜 붉은빛을 띠고 있을까. 물론 메두사가 흘린 붉은 피 때문은 아니겠지만. 단서는 사진에 나타나지 않지만 바로 위쪽에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남성이 왼손잡이로 성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킬러 박사는 “오른손잡이 사람이 뇌에
작은
자극을 받으면 왼손잡이가 될 수도 있다”고 말하면서 “초음파 진단이 태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가”라고 덧붙였다.이 조사에 따르면 1976년 이후에 태어난 남성에게서 왼손잡이 비율이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성에 관한 모든 것이었다. 더이상의 정보를 얻기에 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깝고 매우
작은
행성이었다. 수성은 우주탐사가 필요한 행성이었다. 최초로 행성 중력 이용한 탐사선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까워 탐사선을 보내기에도 까다로웠다. ‘논스톱 수성행 탐사선’을 보내려면 비싼 타이탄급의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알갱이가 굵은 퇴적물을 호수로 운반하는 봄과 여름에 형성된 것이고, 어두운 색깔의
작은
알갱이는 호수가 얼어서 퇴적물이 공급되지 않는 가을과 겨울에 형성된 것이다. 하부층과 상부층이 이루는 한쌍의 두께는 흥미롭게도 11년을 주기로 달라지곤 한다. 이는 태양의 흑점주기와도 일치돼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저장·전달하고 연산하기에는 휴대폰의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다. 때문에 비트 수가
작은
타원곡선 암호시스템을 사용한다. RSA에서 1천24비트(10진법으로 1백55자리 이상)를 썼을 때 얻을 수 있는 안정성을 타원곡선 암호에서는 단지 1백60비트(10진법으로 50자리 이하)정도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하고 있으며 머리는 뾰쪽하고 꼬리는 잘린 듯한 … 숨을 쉬는 숨구멍인 두개의
작은
갈색점이 피부의 표면에 나타나있다. 앞쪽의 머리라고 불리는 곳은 두개의 집게 갈고리로 무장돼 있다”.구더기 관찰에 대한 그의 의미부여는 자연관찰자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더욱 잘 보여준다.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마찰력이 큰 쪽에서는 잘 안 미끄러지고 마찰력이
작은
쪽에서는 잘 미끄러지려 한다면 결국 마찰력이 큰 쪽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과동이는 보드매장에 처음 들렸던 때를 생각해낸다. ‘내가 과연 보드를 탈 수 있을까’하던 두려움과 망설임은 어느새 자신감과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충분히 빠른 속도로 축구공을 찬다면, 그 공은 레이놀즈수가 특정수치보다 커져 훨씬
작은
저항력을 받게 된다. 가끔 축구경기에서 대포알 같은 슈팅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고, 공이 쭉쭉 뻗어나간다고 말하는 것도 이 경우다. 속도가 매우 빠른 공은 골키퍼에게 이중의 고통을 가져다준다. 공이 ... ...
IT - 디지털 마술방망이의 신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특정한 산업에만 국한되는 주변기술이라는 점이다. 또 하나 IT는 나머지 기술과 달리
작은
자본으로 시작해 짧은 기간 내에 제품화가 가능한 것이 많다는 점이다.한편 IT산업은 다시 불이 붙을 가능성이 많은 용광로이다. 예를 들면 온라인쇼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디지털지갑(E-wallet)의 확산을 들 수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해양관측, 우주고에너지 입자와 이온층 측정, 그리고 지도제작을 위한 해상도 6.6m급(
작은
건물과 도로를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아리랑 1호의 개발이 갖는 의미는 무게 5백kg급의 실용위성을 설계, 제작,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렀다는 점이다. 과학기술부를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