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뉴스
"
기준
"(으)로 총 8,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료 어려운 방광암, 로봇수술 이점 많다
연합뉴스
l
2019.07.11
불리던 방광암은 조금 더 명확하게 방광의 근육층을 침범했느냐, 하지 않았느냐를
기준
으로 비(非)근침윤성 방광암과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구분된다. 비근침윤성 방광암은 방광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치료방침이 정해지고, 근침윤성 방광암은 방광을 모두 절제하는 게 일반적이다. 물론 환자마다 ... ...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신약 개발 임상 비용·시간 절감"
연합뉴스
l
2019.07.10
임상 참여 환자 모집기간은 26% 줄일 수 있고, 임상연구 완료 단계 중 마지막 환자 방문
기준
10일 안에 데이터 검증 완료가 가능하다. 또 데이터 정정 비율은 40% 감소했다. 이처럼 임상연구의 디지털 전환은 전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물로 활용되는 데이터의 품질 자체를 ... ...
'상용화 100일' 5G 생태계 조성 '박차'…서비스 개선은 '과제'
연합뉴스
l
2019.07.10
일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고된 5G 기지국 수는 6만2천641개에 그쳤다. 이는 작년 말
기준
87만개에 달하는 LTE 기지국 수의 7%에 불과한 수준이다. 더욱이 설치된 기지국도 서울, 수도권에 집중돼 지방의 5G 기지국 수는 2만5천921개(41%)에 그쳤다. 서울 주요 지역 5G 속도도 애초 선전한 최대 20Gbps ... ...
KAIST·UAE 칼리파대 공동연구센터 대전 개소...원자력 연구협력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김종현 공동연구센터장이 참석했다. 칼리파대는 UAE 국왕이 설립한 국립대학으로 2019년도
기준
학부생 3500여명, 대학원행 900여명, 교원 500여명이 등록되어 있다. KAIST와 칼리파대는 2010년부터 KAIST가 칼리파대 원자력공학과 개설과 교과과정 개발을 지원하는 등 교육 및 연구 협력 사업을 지속해왔다. ... ...
김치에 쓰이는 식품 첨가물 20종 5분만에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제조 및 규격 등을 정리해 놓은
기준
서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분석법은 기존 분석법에 비해 동시에 분석 가능한 항목을 7종에서 20종으로 확대했다”며 “분석 소요 시간도 기존 10분에서 5분30초 이내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 ...
또 라돈 매트리스…끝나지 않는 생활방사선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폐업해 추가조사와 시료확보가 어려워 원안위는 라돈측정서비스를 통해 제품별 안전
기준
초과여부와 폐기방법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로 했다. 원안위 관계자는 “현재 조사중이나 결함제품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 미리 알리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신체밀착형 제품에 원료물질 사용을 ... ...
수돗물 질산염이 발암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L당 0.14mg 이상일 경우 몸에 유해했다”고 결론 내렸다. 나이덴코 고문은 “질산염은 현행
기준
치의 10분의 1 수준이어도 암이나 다른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 ...
캘리포니아 20년 만에 대규모 강진 잇따라... '빅 원' 가능성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가세티 LA 시장은 NBC LA 방송에 “진도가
기준
점보다 낮았던 건 사실”이라며 “지진 발령
기준
점을 낮추는 방안을 전문가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진은 규모 7.1의 강진이었음에도 알람 프로그램이 이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USGS에 따르면 지진이 발생한 지 8초 ... ...
카리브해 덮친 2000만톤의 '모자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일종인 모자반 약 2000만t이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덮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17년
기준
연간 전세계 새우 생산량인 약 700만t의 3배 수준이다. 이 지역에서 모자반의 양이 처음 급격하게 늘어난 2011년에 비해 불과 8년만에 약 10배가 늘었다. 전지구적인 기후 변화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촨민 허 ... ...
미세플라스틱의 93%플라스틱 제품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사용을 줄이자"고 권고했다. 미세플라스틱 줄이려면 플라스틱 자체 줄여야 2015년
기준
전 세계의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색이 붉고 진해질수록 배출량이 크다는 의미다. 사이언스 제공 한편 이날 심포지움에서는 이민희 LG하우시스 연구소장(상무)이 실제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한 사례에 대해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