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내가 왜 그 기계의 실험대상이 되느냐"는 경계심이 현저히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서울
올림픽에서 그랬던 것처럼 한달후 벌어질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의 치열한 기록경쟁 이면에는 스포츠과학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또다른 경쟁의 불을 뿜을 것이다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받는다. 또 주변환경과 그밖의 외부적인 요소들에 의해서도 손톱의 상태가 달라진다"고
서울
대 의대 서정돈교수(내과)는 지적한다.실제로 손톱의 색깔과 모양은 건강진단에 큰 도움을 준다. 특히 손톱의 색깔은 내부장기와 혈액의 상태를 암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명한 핑크빛을 띠고 흰색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녹용분말 제조방법이 백인범씨에 의해 개발됐다. 냉동건조된 녹용을 분말화한 것인데,
서울
대 생약연구소 연구결과에 따르면 달이는 것에 비해 약효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녹용을 달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분감소와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 이 발명의 계기.또 휴대용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등 약제사용에 대한 두려움과 지식이 결여되어 있었다. 월경조절로 딴 양궁금메달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시합전 바이오리듬을 이용하여 양궁선수들이 시합일에 어떤 컨디션을 가질 것인지에 대하여 매스컴에 보도된 일이 있었다.이 보도에 의하면 정작 메달이 획득유력시 되었던 국내유망선수는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정보는 이제는 보다 차별화되고 있다.예를 들어 유선TV의 보급으로 지방에서는 무덤덤한
서울
소식보다는 알찬 자기 고장의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야구 소식을 TV에서 보기 위해 TV앞에서 채널을 돌려가면서 막연히 기다릴 필요는 앞으로 없어질 것이다. 다양해진 TV채널은 특정 ... ...
밥상에 그릇과 수저만 있다고 배부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수 있어 보유율이 40%라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더군요 그래서 '학교교구설비 기준'(1992. 2,
서울
특별시교육청)을 찾아 살펴보았지요. 제시하고 있는 기준대로 모두 갖출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좁은 실험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업하는 현실과는 거리가 멀고, 십분 활용키가 힘든 기준이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주장이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우세해졌다. 이 결과 등장한 것이 컴퓨터채점기.88년 3월
서울
컵 복싱대회에서 소련 엔지니어들이 선보인 이 시스템은 89년 국제아마권투연맹(AIBA)이 모든 국제대회에 이를 도입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이제는 보편화 됐다. 컴퓨터채점기의 원리는 간단하다.심판들이 ... ...
5. 운동이 당신의 몸을 망가뜨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잇따라 설립되고 있다. 지난 90년 처음 문을 연 코오롱스포렉스를 필두로
서울
종합병원 거평메디스클럽 단국대 천안병원부설 운동의학센터 등이 운동처방전문기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달리기 처럼 몸의 하중을 다리에 가하는 운동 뿐만 아니라 수영 사이클 등과 같이 직접 다리에 충격을 주지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열려 대성황을 이뤘다. 93년에는 중국 북경에서 제7차 대회가 열릴 예정인데, 이 회의에서
서울
대의 국교수가 좌장을 맡는다고 한다.83년부터 미국의 벨연구소에서 STM을 연구해 온 국교수는 90년에 미국 볼티모어에서 개최된 제5회 STM국제대회를 주최할 정도로 STM에 관한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처한다.지구환경의 변화는 거기에 깃들여 살고있는 생물종 전체의 변화도 몰고온다.
서울
시립대 이경재 교수(생태학)는 "1℃ 정도의 온도가 상승하면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전체종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생물들이 개체 수 감소를 경험하게 되며 식물종은 약 7백 종 정도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