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
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보리롱, 빌리 마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국내에 UFO와
우주
법칙(고려원),
우주
인을 맞이하자(김영사), 그대 반짝이는 별을 보거든(시어사)과 같은 책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자연현상? 심리현상?지금까지 UFO현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조망해 보았다. 이제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밀접한 관련없이 기술자들에 의해 발전되고 전수돼왔다. 근대에 들어서도 과학자는
우주
와 자연에 관한 문제를 풀어내는 이론과 실험적 작업에만 몰두했다.반면 중세 장인(匠人)의 맥을 이어받은 기술자는 자본주의 체제와 결합되면서 그들의 숙련된 기술을 돈버는데 활용했다. 19세기 초까지만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반사시킬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다.목성에도 토성과 같이 가는 고리가 있음이 보이저
우주
선에 의해서 밝혀졌다. 이 고리는 두께가 30㎞로 얇고 거의 투명하다. 이 고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은 아주 작은 입자(10㎛)임이 분명하다. 이 입자들은 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인 메티스(Metis)와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며, 현대 과학이 밝혀낸 지식을 동원하여
우주
와 인간의 차 모습이 무엇인가를 지속적으로 찾아나가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세계관과 가치를 창출해내는 작업이 이 시대에 요청되는 가장 긴요한 과제임을 앞으로 과학자가 되려는 젊은 세대들은 깊이 인식해야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광역지진학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는데…
우주
의 신비를 캐기 위해 인공위성이나
우주
선을 발사하여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나 땅속의 신비를 알아내기 위해 지구 내부로 탐사선을 발사했다는 소식은 아직 듣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간이 땅속으로 도달한 최대 ... ...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창립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대학생 아마추어천문서클 출신자들을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는 별도로 KAAS는
우주
소년단과 연계해 이들에게 천문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도 갖고 있다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항성의 위치를 정밀 측정하거나 행성의 적외선 복사를 잡아내기 위해서는 측정장소를
우주
공간으로 옮기거나 고도의 측정장비를 확보해야 한다. 90년대 후반에 쏘아올릴 예정인 적외선망원경도 이러한 계획의 일환이다. 또한 항성의 천구상 각도를 1천분의 1 (달면에 떨어진 10원짜리 동전을 볼 수 ... ...
우주
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
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통해주면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수소는 연소실로 보내지고 산소는
우주
인의 숨쉬기에 쓰이므로 버릴 것이 하나도 없게 되는 셈이다.이미 산소재순환시스템은 수준급으로 작동하고 있다. 밀폐실 속의 사람들은 실제로 자신들이 만든 산소로 숨을 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적게는 수백만년에서 수천만년을 달려온 빛들임을 생각해 본다면, 그 희미한 작은 빛은
우주
역사의 산증인인 셈이다. 은하관측은 우리 삶의 세계를 한껏 넓혀줄 것이다. 메시에(M) 넘버와 NGC넘버18세기 후반 프랑스의 아마추어천문학자인 메시에(Messier)는 소형망원경을 가지고 딥스카이(Deep Sky, 은하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망원경을 애들이 갖고 노는 장난감 정도로 생각합니다. 이런 과학기술 마인드로는
우주
개발은 불가능합니다." 이혁기씨는 국민학교 4학년때부터 잡지에 난 망원경사진을 보고 이를 직접 만들어 보려고 문구점이나 안경점을 누비기 시작했고, 친구집에 가서도 망원경 재료가 될만한 것이면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