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뉴스
"
성과
"(으)로 총 6,4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어디를 침투하시려나? 해커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기업들에 우선 적용한 뒤 상용화할 계획이다. 나중찬 ETRI 융합보안연구실장은 “이번
성과
는 인허가 수준의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앞으로는 국내외 산업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시장에 본격 뛰어들 것”이라며 “관련기술을 적합한 기업에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랩온어클라우드가 뭔지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많다. 연구와 실험을 대신 실행하고 그 중에 시장에서 충분히 통할 것으로 보여지는 연구
성과
는 산업화까지 함께 이뤄내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성 교수는 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에 ‘연구 좀 한다는 친구들’을 적극 추천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몇 개의 ... ...
기업 76% “출연연과 연계 전담기관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출연연에 반영하고 출연연의 보유 역량을 기업의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연계해, 연구
성과
를 확산할 수 있는 수요지향적 전담기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원전 비리로 인한 실망, 원자력 연구가 희망으로 바꿔드리겠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6
잇따른 원전 비리로 원자력계를 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차갑기만 하다. 지난 40년 가까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됐던 원전에 짙은 그림자가 드리운 것 ...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당장 비용이 들더라도 자율성을 보장한다면 훨씬 커다란
성과
로 돌아올 거라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 ...
비브리오패혈증의 식중독 유발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병원성 발현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명희 센터장과 최상호 교수는 “이번
성과
는 특정 식중독균을 골라 제어하는 연구에 쓰일 수 있으며, 패혈증균의 생장을 막는 물질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공통주제를 두고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연구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더 좋은
성과
를 내는 지름길입니다.” ● 이영희 단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기초·응용연구 함께 가야 ②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한 연구 이어져야 ③ 호기심 키우고 다양한 문화권 연구자들과 공동연구 ... ...
[신나는 공부]‘4-FIRST’원칙으로 주목받는 충북대… 우수한 교육서비스로 취업률 크게 올라
동아일보
l
2013.07.23
7개영역에 걸쳐 평가한 결과 교육서비스의 질이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 이번
성과
는 충북대가 ‘4-First’ 교육철학인 △학생 우선(Student-First) △교육의 질 우선(Quality-First) △인성 우선(Humanity-First) △잘 가르치기 우선(Teaching-First)을 중심으로 학교를 운영해 왔기에 가능했다. 충북대는 ... ...
“시대정신을 반영해 국민의 열망을 실현시키는 것이 창조경제”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박 조정관은 이에 대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우수한 연구
성과
를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기술보증기금과 연계해서 성공률을 높이고, 실제 서비스 과정에서 시장 진입을 막는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또 “민간의 R&D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조세 지원을 확대하고 ... ...
지금 과학계는 줄기세포 춘추전국시대...우리나라는 어디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1
있다. 논문수로는 세계 7위 수준이다. 실제로 세계를 놀라게 할 만한 획기적인 연구
성과
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대해 국내 줄기세포 연구자들은 '생명윤리법'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황우석 사태 이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수 많은 난자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이에 ... ...
블랙홀이 ‘꺼억’하고 트림하는 순간 엿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7.21
“제트 분출 시점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실제 관측까지 성공했다는 것이 가장 큰
성과
”라며 “제트 발생 과정에 아직까지 설명되지 않은 수수께끼를 차례차례 풀어갈 계획”이라며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20일자에 실렸다.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