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그 차이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알만한 사람에게 물어 봐도 거의 비슷하다는 대답만 들려
줄
뿐이었다.입학후 느낀 두 학과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교과과정에 있었다. 간단히 말하면 약학과는 약의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고, 제약학과는 약의 제조에 관심을 기울인다. 약학과는 생물과 관련된 ... ...
공기의 흐름을 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냉난방기를 개선하는데 레이저 빔을 이용해 공기의 흐름을 가시화하는 장치가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12월 파리 남단 오르세이지방에서 조금 위쪽에 자리한 물롱고원에 '바람과 열 산업기술'(CETIAT, Centre Technique des Industries Aerauliques et Thermiques)가 설립됐다.이곳에 들어서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당연히 있어야 하는데, 이 분야는 명확히 규정 짓기가 애매합니다. 기계를 이해할
줄
아는 전자공학도의 영역인듯 하면서도 예술을 깊이 이해하는 미학도의 영역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제대로 된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관련 학과가 대학에 생겨나야 할 것입니다."금성컴퓨터에서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가공하기도 힘들었기 때문이다. 동물의 뼈나 돌 조개껍질 등은 그 화려함에서 옥과 견
줄
수 없었다.10여년 전 단국대 박물관팀이 경상도 사천(泗川)의 철기시대 고분에서 발굴한 유리구슬도 그 한 보기다. 당시 한 고분에서는 지름이 5~8mm인 진한 푸른색 유리구슬 10여개가 나왔다. 또 청록색 관옥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다. 뿐만 아니라 소형분류기기들은 각종 세포 수를 조사하고 분류하는 능력을 보여
줄
것이다. 그러면 백혈구 세포와 정액세포의 수를 보다 정확하게 알게 된다.소형화 기술은 제조분야에서도 활용될 전망이다. 예컨대 청소기와 같이 먼지를 일으킬 수 있는 기기들을 소형화하면서 먼지를 모으는 ... ...
「과학교과서는 재미없다」는 통념 불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대체적인 의견은 부분적인 면에서 몇가지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현장 과학교육에 변화를
줄
만큼 큰 의미를 갖지는 못했다는 평이다. 수많은 개념들이 사전식으로 나열돼 있는 우리의 교과서를 갖고서는 생활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이해 시키고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능력을 배양하기가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한토크'(Han Talk)를 개발한 것은 비록 위즈니액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의 업적에 견
줄
바는 못되지만 당시 20여개의 BBS통신이용자들이 이전에 한글전용소프트웨어가 전무해 낯선 영문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했던 불편을 완전 해결, 국내 BBS통신의 새로운 도약을 마련해준 획기적 사건이었다.특히 ... ...
용돈관리를 로터스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셀의 폭에 가득차도록 만들어준다. 이 방식의 장점은 나중에 셀의 폭을 번경시키더라도
줄
은 항상 셀의 폭을 꽉 채우게 되므로 수정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다.(그림 2)의 워크시트는 (그림 1)보다 외관은 세련되게 개선됐지만 기능면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많다. 이 정도에서 그친다면 퍼스컴을 ... ...
머리카락보다 가는 모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가는 전기모터가 개발됐다. 이는 의학 기계제작 및 기타 과학분야에 새영역을 열어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일종의 전자분야의 혁명이라고도 볼 수 있는 이 소형모터는 최근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이 개발해 낸 사상 최소형의 모터로, 지름이 사람의 머리카락(70~100미크론)보다 가는 60미크론.이 ... ...
「피슈바하」의 도전장 제5의 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Delaton)이라고 알려진 이 이론속의 물리량이 어쩌면 우주의 질량결핍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우주의 질량결핍문제는 우리 우주에서 관측된 물질의 질량만으로는 현재의 우주팽창속도를 설명할 수 없는 데서 처음 제기됐다.물질이 작으면 서로 잡아당기는 힘(만유인력)이 작아지므로 더 ... ...
이전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