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깍듯이 예의를 지켰다. 손님 대접을 하느라고 노력하는 흔적도 역력했다. 특히 여류과
학자
들은 부드럽고 따뜻한 면이 동양여성에 가까울 정도였다.나의 방문은 그들에게 분명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나를 중국인이나 일본인으로 착각하기도 했다. 올림픽 이후 많이 달라졌겠지만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전통을 되살리기 위한 움직임이 최근에 조용히 일고 있다. 한국과학사에 뜻을 둔 몇몇
학자
들과 문화재관리국이 그리고 우리의 전통과학을 아끼는 뜻있는 분들이 개인적으로 애를 쓰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해시계를 공원과 학교 빌딩 앞에 설치하자는 운동이다. 또 국립표준연구소에서 세종때의 ... ...
개구리와 두꺼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미국에 사는 벌(bull) 개구리는 물위에 떠있다가 낮게 날으는 새도 잡아먹는 것이 동물
학자
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개구리와 두꺼비는 거의 산것만 먹는다. 먹이가 아주 부족할때에나 죽은 것을 먹는다.개구리와 두꺼비의 암컷은 다산으로 유명하다. 수천개의 알을 낳으며 산란때는 수컷들이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지능수준이다. 나머지 반 정도는 오히려 정성 이하의 지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학자
는 자폐증 환자가 보이는 특이한 기억능력은 이들의 관심의 촛점이 별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즉 보통 사람이 무심히 지나치는 일들에 대해 강렬한 호기심과 관심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레인맨이 ... ...
선형입자가속기에서 새로운 아원자Z˚검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반양성자가 합성물질이라는데 문제가 있어 Z˚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물리
학자
들은 이번에 발굴된 Z˚를 상세히 연구함으로써 중성미자(neutrino)로 알려진 여러가지 형태의 소립자 존재가 밝혀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결과는 천체물리학 내지 우주론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를 만들어 줄 ... ...
돌고래의 언어습득 훈련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받고 있다.돌고래에 인간의 말을 습득시키려는 노력은 지난 50년대부터 동물
학자
·심리
학자
들 사이에 꾸준히 진행돼 왔으며 최근에는 '루인 헤르만'이라는 하와이대학교수가 50여개의 단어를 몇마리의 돌고래에 가르치는데 성공, 화제가 되고 있다.그는 수중 스피커를 통해 영어단어를 가르치고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reverse transcriptase)등.우주에서 만들어진 이 결정들은 지구에 도착하자마자 생화
학자
들에 의해 분석되었다. X선을 쬐어 그 구조를 밝혀나간 것이다."X선 사진을 통해 결정의 각 분자들이 어떻게 형성돼 나가는지 알 수 있었다. 모든 분자들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등 거의 완전한 결정모습을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틀림없다. 이러한 미립자들을 총칭해서 타아디온(tardions)이라고 하는데, 이 명칭은 물리
학자
'빌라뉴크'가 붙인 것이다.미립자 중에는 정지상태에서 질량이 전혀 없는 것, 즉 정지질량(고유질량)이 0이 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립자들은 절대로 정지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그 정지질량이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또 이들이 여러 종(種)으로 진화하고, 번식할 수 있게 되었다. 오스트리아의 물리
학자
슈뢰딩거(Schrödinger)의 말대로,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사는 존재'이기 때문에 태양의 존재는 그만큼 필수적인 것이다.인간이 주범모든 생명체가 생활하는 과정은 넓은 의미에 있어서 변화의 과정이다.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다. 작년 11월에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제1회 맥루한이론회의가 열려 전세계의 많은
학자
가 참석했다.그러나 그의 지적유산인 맥루한이론의 정당성이 널리 인지되었다고 하기는 아직 시기상조일 것이다.새로운 종족 한명에게 "마샬 맥루한이라는 이름을 들은 적이 있느냐"하고 물은적이 있다. ... ...
이전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