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1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연구자들, “중규모 연구 과제 늘리고 PBS 폐지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8.03.13
- 통해 연구 과제를 수주하는 ‘PBS제도’가 도마에 올랐다. 토론자로 참석한 유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사신경생리연구그룹 책임연구원은 “PBS는 원래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확보하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제도”라며 “하지만 지금은 그저 직접비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돼 본래 ... ...
- 눈물로 혈당 재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8.03.13
-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도 쉽게 혈당을 체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시판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해 ‘스마트 렌즈(사진)’를 개발했다. 기존에 개발된 혈당 측정 렌즈와 달리, 이번에 연구팀이 만든 렌즈는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 ...
- 칫솔 필요없는 구강 세정기...유명 디자인 어워드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8.03.12
- 해외 디자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김차중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공학융합전문대학원 교수팀은 닥터픽과 개발한 차세대 구강세정기가 ‘iF 디자인 어워드 2018’ 프로페셔널 컨셉 부분에서 본상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김차중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이 디자인한 ... ...
- 화이트데이엔 'SKY 초콜릿'으로과학동아 l2018.03.12
- 이곳에서 ‘서울대 초콜릿’으로 불리는 ‘쇼코(XOCO)’를 개발한 이기원 서울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과식이 허락되지 않던 초콜릿이 이제는 과식해도 좋은 음식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처럼 몸에좋은 초콜릿을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이 교수는 초콜릿 분야 세계 ... ...
- UNIST 개발 컬링 AI, 국제 디지털 컬링대회서 우승동아사이언스 l2018.03.11
- 박사과정 연구원, 최재식 교수.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연구원(UN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최재식 교수팀이 개발한 컬링 인공지능(AI) ‘KR-DRL’이 이달 3일부터 2일간 일본에서 열린 ‘게임 AI 토너먼트(GAT) 2018’의 컬링 부문인 제4회 디지털 컬링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 ...
- 아이언맨처럼 홀로그램 만지고 대화하는 세상 올까?동아사이언스 l2018.03.09
- 크기의 전방향 홀로그램을 만드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박재형 인하대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는 “2018년 현재 기준에서도 1~5cm 정도의 홀로그램이 최대 크기인 상황”이라며 “렌즈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크기에 따른 시야각 확보, 해상도 등에서 상용화까지 가기 어려운 점이 ... ...
- 블랙팬서, 비브라늄 슈트의 비밀과학동아 l2018.03.09
-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개발됐다. 노준석 POSTECH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연구에 쓰이는 실리콘을 가시광선 파장인 400~700nm보다 짧은 50~150n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해 메타물질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평면렌즈 표면에 배열해서 가로세로 1mm인 정사각형 ... ...
- “영미! 한판 붙자” 국내 개발 AI 컬링로봇, 인간과 첫 대결…결과는?동아사이언스 l2018.03.09
- 비교, 평가해 경기 상황에 유리한 최적의 투구 위치를 결정한다. 최재식 UN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투구 후 결과가 나오면 경기 승률을 예측하는 ‘가치망’을 이용해 피드백 평가를 하고, 다음 투구에 반영하면서 점점 승률을 높여 나간다”고 설명했다. 컬브레인 DB에는 세계컬링연맹의 201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⑤]사이보그 몸 입은 인간의 고뇌… ‘로보캅’동아사이언스 l2018.03.08
- 주인공의 ‘정체성’이 갈등의 핵심으로 부각되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발전된 생체공학기술 때문에 인간과 로봇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이다. 완벽한 한 로봇이 ‘나도 인간이 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 혹은 온 몸을 기계장치로 바꾼 주인공이 인간과 기계 사이에서 혼란을 겪는 모습을 ... ...
- 스페이스X는 왜 로켓을 재활용할까?과학동아 l2018.03.07
- 것이 앞으로 국내 우주 개발의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우주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가 우주개발에 관심을 가질 만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초기 단계부터 민간 이전을 고려해 개발을 진행해야 향후 ... ...
이전6256266276286296306316326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