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뉴스
"
다음
"(으)로 총 6,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과 갈까 문과 갈까?
과학동아
l
2013.04.30
난이도도 높습니다. 따라서 자연계열 공부가 더 어렵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다음
과 같습니다. 적은 양의 공부를 실수 없이 공부하는 스타일이면 인문계열을, 약간 실수하더라도 난이도 높은 공부를 하는 스타일이면 자연계열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것이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 ...
[신문과 놀자!]서술형 평가-스토리텔링 수학 이렇게 대비하세요
동아일보
l
2013.04.30
미디어 글쓰기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서울교대와 함께 초등 3∼6학년을 대상으로
다음
달 25일 ‘제1회 미디어 글쓰기 대회’를 연다. 모든 참가자에게 ‘개별평가표’를 제공해 자신의 글쓰기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다. 서울교대 홈페이지(www.snue.ac.kr) 참조. 02-362-5110 정민아 ... ...
후사 없이 요절한 닮은 꼴 자매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성종이 즉위한
다음
날, 공혜왕후는 어찌 된 일인지 궁궐을 나가 사가에 머물다가
다음
해 1월 19일에야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로 책봉됐다. 그러나 왕비로 책봉된 지 5년 만인 19세에 후사 없이 사망했다. 계유정난으로 단종을 숙청하며 집권한 한명회는 조선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두 딸을 왕비로 ... ...
효도하다 병 들어 사망한 왕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왕으로 기록된다. 인종의 장지가 서삼릉으로 결정된 사유는 효심이 두터운 인종의
다음
과 같은 유언 때문이었다. “내가 우연히 병을 얻어서 부왕께 끝까지 효도를 하지 못하게 되었으니, 망극한 심정을 어떻게 모두 말할 수 있겠는가. 반드시 부왕과 어머니 장경왕후가 계신 정릉(靖陵)의 근처에 내 ... ...
표독한 계모에도 孝를 다한 인종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제거되어야 할 정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 그녀는 세자를 끌어내리고 경원대군에게
다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싸움터에 뛰어 들었지만 이 부분만은 그녀의 생각대로 되지 않았다. 중종이 사망하자 그녀가 반드시 제거해야할 대상이었던 인종이 왕위를 이어받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 ...
조선 왕조 마지막 왕릉…죽어서도 홀대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8년 자손 없이 42세로 사망했다. 예릉은 조선왕조의 상설제도를 따른 마지막 능이다. 철종
다음
의 고종과 순종은 황제였으므로 왕릉의 법식이 아니라 황제 능의 법식을 따랐기 때문이다. 봉분은 병풍석없이 난간석으로 연결된 쌍릉으로 자좌오향(정북에서 정남향)이다. 곡장이 둘려진 봉분에는 ... ...
강화도령 묻혀있는 서삼릉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위치한 선릉으로 옮겨갔고, 중종의 아들인 인종과 인성왕후 박씨의 효릉이 조성됐다. 그
다음
에 철종과 철인왕후의 능인 예릉이 들어서면서 ‘서삼릉’이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 현재 서삼릉의 3개 왕릉 중에서 제12대 인종과 그의 왕비 인성왕후 박씨 능역은 비공개다. 효릉이 농협중앙회 ... ...
[이주의 과학신간] 식물도 기억하고 냄새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맡아 다가오는 적들의 공격에 대비한다. 또한 호되게 아팠던 경험을 기억 속에 남겨두어
다음
세대에 전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모든 내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는 사실이다. 진화의 갈림길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지만, 물리적인 세계를 감지하고 인식하는 데 식물은 인간과 유사한 ... ...
달걀이 알려주는 명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덕분이다. 부모가 살아 계실 때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효도할 수 있지만, 돌아가신
다음
에는 효도할 방법이 없다. 우리 선조들은 부모가 돌아가신 뒤 뼈라도 오래 보존된다면 자신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밀접한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부모의 시신이 오래 보존될 수 있는 ... ...
과학기술자의 목소리를 듣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60대 후반의 한 과학기술계 원로마저 ‘최고참 원로’에게 “넌 아직 어리니까
다음
에 나오는 게 좋겠다”라고 만류 받고 나서 과학기술계의 고령화를 걱정하기 시작했다. 나이가 60대 후반인 원로도 과총 회장 후보로 명함조차 내밀 수 없다는 게 현실이다. 문제는 회장의 나이가 많다는 게 아니다. ... ...
이전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