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특이적분과 개념함수
과학동아
l
200811
어떤 유체가 통 안에 정지해 있다면 유체의 모든 부분은 정적 평형상태에 있다. 또 같은
깊이
에 있는 모든 유체는 같은 압력을 받는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유체의 그 부분이 평형상태라고 볼 수 없다.댐을 설계할 때는 댐이 받을 힘을 계산해야 한다.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모양의 댐에서 수위가 댐의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11
덴마크 코펜하겐대에서 닐스 보어의 지도를 받으며 당시 새롭게 대두된 입자물리분야에
깊이
빠져들었다. 1928년 오스칼 클라인과 함께 콤프턴 산란의 유효 단면적을 계산하는 ‘클라인-니시나 공식’을 발표했다. 그 직후 일본으로 돌아와 이화학연구소로 복귀해 1931년 니시나 연구실을 창설했다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10
반 기대 반으로 건물에 들어서자 수로 위로 거짓말처럼 배 두 척이 떠 있었다. 수로의
깊이
는 건물 한 층이 잠길 만한 3.5m로 바닥이 보이지 않았고, 길이는 일반 수영장의 2배인 100m로 끝이 아득했다. 이곳은 모형 배를 제작해 성능을 점검하는 ‘선형수조실험동’이다.“호흡을 맞춰 페달을 좀 더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10
3km/s다. 3) 지진의 진원
깊이
는 진앙거리와 진원거리를 이용해 구한다. 따라서 진원의
깊이
는 60km다. 2. 그림은 조선시대의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나타낸 것이다. 영침막대 끝(점 P)은 반구형 원통 단면의 정 중앙에 위치한다. 물음에 답하라. 1) 영침막대가 가리키는 방향을 쓰고, 영침막대의 그림자가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
과학동아
l
200810
인터랙티브 설치, 2007, ITRI 크리에이티비티 랩특수의자에 앉은 관람자의 호흡 속도와
깊이
를 감지해 바닥에 글씨로 나타내는 작품.낯설지만 매혹적인 빛미디어 아트(Media Art)란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수단인 대중매체를 도입한 미술 양식으로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2006년 타계한 ... ...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과학동아
l
200809
표면에는 ‘호랑이 줄무늬’ 같은 좁고 긴 협곡이 또렷하게 보이는데, 과학자들은
깊이
가 300m에 이르는 이 협곡을 엔셀라두스 땅 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가 제트처럼 분출하며 남긴 흔적이라고 추측한다.미국 코넬대 폴 헬펜슈타인 교수는 “땅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가 약한 표면을 뚫고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09
뒤 조각을 360°로 회전시키며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조각의 폭과
깊이
를 측정했다. 그 다음 조각을 뒤집어 같은 과정을 반복했다.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는 그립호스를 이용해 재조합했다.연구팀은 화산폭발로 일순간에 사라져 버린 그리스 고대 도시 ‘아크로티리’의 벽화에 이 ... ...
‘물리학의 산’같이 넘어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0809
뜻을 비쳤다. 책도 계속 쓸 생각이다. 다작(多作)보다는 한 문장 한 문장 심혈을 기울여
깊이
있는 글을 쓰고 싶단다. ‘꺼리’는 많다. 공부방 한쪽 벽면을 꽉 채우고 있는 화이트보드에는 최 군만 알 수 있는 각종 물리 이론과 공식이 암호처럼 빼곡하게 적혀 있다.‘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09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각종 실험장비를 바다에 넣었다가 꺼내기를 반복하고 있다. 바다
깊이
에 따라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는 장비(CTD 장비)를 수심 수십m에서 2300m까지 집어넣는 일은 기본이다.또 연구선은 독도 주변 해역을 옮겨 다니며 플랑크톤을 채집하기 위한 그물을 수심 200~300m까지 내렸다가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09
입학하고 첫 음악시간에 단소를 배웠던 그는 “플라스틱 단소를 불었는데 소리의
깊이
가 낮아 맘에 안 들었다”며 “깊은 소리를 내기 위해 할아버지를 졸라 대나무를 구하러 다녔다”고 말했다. 단소를 직접 만들려고 마음먹은 것이다. 단소와 비슷한 굵기의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소리를 살폈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