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위성 ‘유로파’에 큰 지하 호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12
살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그러나 이 호수는 얼음 아래 깊이 있어 지금처럼
영상
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생명체가 사는지를 확인할 수는 없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1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
과학동아
l
201112
발표 자료다.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하위헌스를 통해 알게 된 타이탄 환경에 대한 정보와
영상
들이 나왔다. [제시문 2]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내용이다. 몇 가지 물질의 상평형 그림을 제시하고, 어는점 내림 현상을 설명했다. [제시문 3] 고등학교 지구과학Ⅰ과 생물Ⅱ 교과서와 과학교양서에서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2
붙였단다. 마커는 실험실 안에 있는 12개의 적외선 카메라가 동작을 인식해서 3차원 입체
영상
으로 만들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야. 이 장치를 이용하면 내가 걸을 때 발목과 땅이 이루는 각도와 발목과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를 분석할 수 있대. 나는 기능성 신발과 일반 운동화를 번갈아 신고 똑같은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12
예를 들면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음악을 상상하면 알파파 상태이지만 연주하는
영상
을 떠올리면 알파파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실험은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는 뇌파를 의지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결과로서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뉴로피드백 실험이라 할 수 있다.1971년 미국 UCLA의 배리 스터먼 ... ...
나이는 6살인데 몸은 아가씨?
과학동아
l
201112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소아비만이 증가했고, TV와 인터넷을 통해 자극적인 사진과
영상
에 어린이들이 무분별하게 노출됐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성적 자극을 자주 받으면 뇌신경을 자극해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신혜정 전문의는 “성조숙증이 왜 ... ...
Does SNS Make Your Brain Bigger?
과학동아
l
201112
소개됐다. 웰컴재단의 지원을 받은 런던대(UCL)의 과학자는 대학생 125명을 MRI(자기공명
영상
)기기로 촬영했다. 이들은 페이스북에서 평균 300명 이상의 친구를 가진 활동적인 학생이었다. 이 학생들의 뇌사진을 동료들과 비교했더니 편도체 등 위에 언급된 네 영역에서 뇌가 확대돼 있었다. 이 연구를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12
온갖 생각이 사라지고 최고 경지의 쾌감만이 뒤따른다고 한다.최근에는 기능적자기공명
영상
(fMRI) 장치가 활용되면서 명상이나 이완, 또는 일반적인 휴식상태에서 일어나는 두뇌 활동의 실체를 실시간으로 밝힐 수 있게 됐다. 즉 fMRI는 특정한 순간 뇌의 여러 부위로 혈액이 흘러가는 모습을 정확하게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11
제5대 국새가 공개됐다. 이전보다 겉은 더 반짝이고 속은 단단해졌다. 한손으로 들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어느 한곳 첨단과학이 들어가지 않은 데가 없다 ... 과정에서 관련 기록이 없어 많은 곤란을 겪었다”며 “조만간 국새 제작의 전 과정을 책과
영상
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11
오기 때문이다.우선 뇌는 우리 몸의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줄어든다. 자기공명
영상
(MRI)으로 촬영한 노인의 뇌를 보면 젊은이의 뇌에 비해 뇌가 줄어 안쪽에 액체가 차 있는 공간인 뇌실 부분이 현저하게 커져 있고, 뇌 바깥쪽 주름 사이 빈 공간이 넓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네덜란드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11
느낄 때 대뇌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fMRI)이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같은 장비를 사용해 뇌의 변화를 조사해야 하지만 이처럼 용감한 학자는 아직 없었다. 하지만 성적 쾌락이 주로 대뇌 안쪽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