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한
국한
규제
특정
일정
조건
유한
d라이브러리
"
한정
"(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03
조화를 이뤄 이른바 '자동차기술의 꽃'이라는 명성을 얻고 있다. 선택된 고객의 주문에만
한정
생산하고 있다. 물론 유럽자동차 중에서도 폴크스바겐(독일) 르노(프랑스) 등과 같이 대량생산체계를 갖추고 중소형시장을 공략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일본의 경우는 최고급승용차를 만들어내지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김갑수차장은 "일종의 새로운 시도다. 기존 생태사진가들이 담당할 수 있는 영역도
한정
되고 그 틀을 한번 벗어날 필요도 느꼈기 때문에 예전에 생태사진을 찍은 경험이 있는 사람과는 별도로 팀을 짰다"고 말했다. 이들에게는 고정급 외에 모든 촬영경비를 지급하고 사진장비도 상당부분 새로 ... ...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02
안정한 연속동작의 면에서는 기체레이저에 미치지 못하며 여기방법도 광펌핑으로
한정
돼 있다. 고체레이저는 대부분 가시광선에서 근적외선 영역에 걸쳐 동작하는데 대표적 레이저로는 루비레이저가 있다.루비레이저는 붉은 색의 빛을 내며 1960년 메이먼이 발명한 최초의 레이저이기도 하다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02
치중돼 있었는데 비해 PCN은 음성 데이터 그리고 영상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PCN은
한정
된 주파수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자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으로 향후 수년내로 실용화될 가격이 저렴하고 작고 가벼운 미래의 통신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무선통신에 의한 전화량은 앞으로 급격히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02
레이저의 이용은 떨어진 망막을 접합시키는 것과 같은 몇가지의 특수 외과용 도구로
한정
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수술실의 일반 도구로 정착되고 있으며, 까다로웠던 수술도 레이저를 이용하면 쉽게 마칠 수 있게 됐다.예를 들면 동맥에서 레이저를 사용하여 지방질을 제거하는 것은 종전의 메스로는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구멍으로부터 얻어 낼 수 있는 정보(털)는 총질량 총각(角)운동량 총전하(電荷) 등 세개에
한정
되고 다른 지식은 결코 얻을 수 없는 검은 구멍의 정보결핍현상을 대머리에 빗대어 표현했다.어떤 집단의 엔트로피는 그 집단속에 들어있는 입자의 총수(總數)로 가늠할 수 있다. 태양과 같은 별의 경우 ... ...
개기일식 전과정 사진 공개 동식물이 숨죽이는 90초
과학동아
l
199102
관찰가능한 본영(本影) 지역은 헬싱키로부터 요엔수에 이르는 지역(길이 4백60㎞)에
한정
됐다.특히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태양의 코로나 채층 홍염 등을 상세히 관측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태양이 지구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1, 2년마다 한번씩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01
비행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청소년은 다른 사람에게 어느 정도 애착을 보이나 대상이
한정
돼 있다. 또 자신이 속한 집단(범죄집단)에는 의리나 충성을 보이지만 딴 사람의 권리나 이익을 아랑곳하지 않고 행동한다. 이 부류의 청소년은 사회적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나 비행이 잦은 계층에서 흔히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이러한 독성에 대해 상당히 잘 견디는 것도 있다. 하지만 대체로 그 종류는 극히
한정
돼 있고 오염이 심한 곳에서는 이들마저 차츰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끼는 회백색을 띤 방사선 모양의 이끼류인데 대기가 오염되면 이것이 맨먼저 죽는다고 한다.일본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이용할 수는 있다고 해도 이것은 간접경험일 뿐이며 또 이들의 연구는 북한지역에
한정
된 것으로 남북한 전역 연구는 아닙니다.이우철-식물의 경우도 교류연구는 절실합니다. 우선 시급한 과제는 식물지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앞서 남한에 식물지가 없다고 말씀드렸는데 제대로 된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