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천하태평 모낭충 인간과 필수 공생충돼 행복 ♥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자거나, 싸거나, 알을 낳고 있을 거야. 우리가 이렇게 꿈에만 그리던 안락한 생활을 하는 건 인간 덕분이지. 그래서 모낭충들은 인간과 더욱 가까워지고 있어♥ 필요 없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다6월 21일, 영국 레딩대학교 알레얀드라 페로티 교수팀이 모낭진드기(이하 ‘모낭충’) 유전체●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메타버스가 바꾸는 현실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동네와 똑같이 생긴 쌍둥이 동네를 만들고 경기장을 건설해 실험을 해보는 거죠. 도로를 건설하거나, 신호등을 설치하는 등 실험을 통해 도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거랍니다. 필자소개 이진석(부산 덕포초 교사)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 ...
- [특집] 손 틈으로 사르르, 모래의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바다 깊은 곳으로 가져가기도 해요 파도를 막아라! 테트라포드(tetrapod). 바닷가의 땅과 건물 등을 파도와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방파제’라고 해요. 거센 파도를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지요. 대표적인 방파제 형태는 콘크리트로 만든 ‘테트라포드’예요.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각 ... ...
- [기획] 모낭충 우리 모두의 반려충♥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미국인 29명 중에서 실제 모낭충이 발견된 건 14%에 불과했지만 유전자 조각이 발견된 건 100%였어요. 모낭충이 사실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살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거지요. 모낭충은 얼굴과 귀, 유두, 생식기 등 털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살며 피지●를 먹어요. 모낭충이 우리 몸에 질환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헤라클레스도 못 떼어내는 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다양한 재질과 모양의 물건을 들 수 있었죠. 연구팀은 “이 장갑으로 물속에서 더 쉽게 물건을 잡을 수 있다”며, “고고학이나 해양생물학, 인명 구조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답니다. 에필로그꿀록 탐정이 금속 구를 든 헤라클레스에게 말했습니다.“여기 작은 밸브가 보이죠? 이 ... ...
- [출동! 슈퍼 M] “포크의 갈퀴는 왜 4개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뜻하는 라틴어 ‘푸르카(furca)’에서 유래됐어요. 포크가 식사 도구로 쓰이게 된 건 400년도 채 되지 않았지요. 서양의 다른 식사 도구인 나이프(칼)나 스푼(숟가락)과 비교하면 한참 뒤부터 사용하게 됐어요. 과거에는 포크가 식사 도구로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여겼어요. 구운 고기를 자르려면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유령의 정체를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유령은 어떻게 보이게 한 거지?”루띠가 기술자다운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건 저도 잘 몰라요. 모르는 사람한테 받은 거예요. 정신을 조작하는 장치랬어요. 사람이 가까이 오면 그 사람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을 유령처럼 보여준다고 했어요.”“가장 무서워하는 것이라. 사람의 내면을 분석할 ... ...
- [이달의 과학사] 1856년 8월 26일 윌리엄 퍼킨, 최초의 합성염료 모브 특허 신청!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함께 보라색 염료 공장을 차렸습니다.퍼킨의 염료 사업이 처음부터 성공적이었던 건 아닙니다. 그러다 프랑스와 영국의 왕가에서 보라색 드레스가 유행하면서 갑자기 보라색은 최신 패션이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퍼킨의 보라색을 아욱꽃의 프랑스어 이름인 ‘모브’로 불렀고, 모브색 옷이 ... ...
-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너의 반려충이라니, 놀라워? 크게 당황할 필요는 없어. 모낭충이 인간이 반려충이 된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거든. 300만 년 전 인간 조상이 출현할 때부터 모낭충은 인간과 함께 살았다고! 그러니 혼자 있더라도 외로워 마♥ 모낭충을 보면 조상이 보인다?2015년, 인간의 모낭충에게서 인간 조상의 ... ...
- [기획] 식량 위기, 우리나라는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채소’를 모아 꾸러미 형태로 배송하고 있어요. 농부는 노력을 인정받고, 소비자는 건강한 식품을 먹는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고 싶어요! ●인터뷰김경민(국립식량과학원 밀연구팀 농업연구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밀 품종으로 식량 위기를 대비해요!” 우리나라에서 밀을 키우려면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