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d라이브러리
"
단점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경쟁관계였고, 오케스트라에서도 자주 만날 수 있었죠. 그런데 비올은 한 가지 치명적인
단점
이 있었어요. 바이올린에 비해 소리를 키우는 데 불리했다는 점이에요. 가장 큰 이유는 불리한 구조예요. 소리를 키울땐 현의 탄성을 강하게 하면 돼요. 그러자면 탄성을 이겨낼 만큼 몸체가 튼튼해야 하죠.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런 계획을 세우자. 본인이 더 잘 알거야. 남이 시키는 것은 의미가 없잖아. 너의
단점
을 잘 생각해서 과목별 문제점을 쓰는 거야. 쓴 다음에 반드시 벽에 붙여봐. 마음이 헤이해지면 그걸 보고 각오를 다지고.” 학생들은 계획을 세우면 작심삼일이 되기 쉽다. 하지만 삼일에 한 번씩 각오를 새로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산화탄소를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하지만 아직 사용하는 에너지가 많다는
단점
이 있어, 기술을 더 발전시켜야 한답니다이산화탄소, 현상금 164조 원?역시 초울트라멋쟁이 고스트헌터답게 이산화탄소를 잡아 가두는 특명을 완수했어! 이제 164조 원만 받으면 되는 건가? 엥? 그런데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힘을 강하게 줄 수 없었어요. 하지만 가장 큰
단점
은 역시 소리가 작다는 거였어요.이런
단점
을 보완하기 위해 거트 현에 은세공 기술을 이용해 은선을 감은 ‘거트코어 현’이 1700년대부터 쓰이기 시작했어요. 거트에 금속을 입혔으니 훨씬 강하고 큰 소리가 났어요. 큰 연주회장에서 연주하기에도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키가 작은 관목의 나뭇잎을 먹고 있는 애벌레들을 쓸어 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단점
은 빗질을 하면서 여러 종류의 식물을 쓸다 보니 다른 식물에 붙어 있던 애벌레들이 한 번에 채집되어 특정한 먹이식물을 찾아내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나 워낙 위장술이 뛰어나 도저히 발견할 수 없는 종류의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공간과 시설이 필요하고, 우라늄 기체를 여러 번 확산시키려면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는
단점
때문에 요즘은 원심분리법을 많이 사용한다. 기체 상태의 안정한 UF6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235U만 따로 분리해 내는 방법이다.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우라늄을 농축할 때 이 방법을 사용했다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세포로 회복하게 만든다. 레티놀은 레틴A에서 만든 유사품으로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는
단점
이 있으나 피부 자극은 상대적으로 적다.최근엔 줄기세포 성분이 들어간 화장품도 출시되고 있다. 줄기세포는 살아 있기 때문에 화장품에 넣으면 곧 죽는다. 때문에 줄기세포 화장품에는 줄기세포 배양액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소켓에 사용할 수 있는 전구식 형광등까지 점점 활용의 폭도 넓어졌다. 하지만 형광등도
단점
은 있다. 부피가 크고, 켜고 끄는데 전력 소모가 크다는 것이다. 물론 전력 소모가 엄청난 것은 아니다. 참고로 형광등을 켤 때 드는 전력량은 약 5초 동안 형광등을 켜 놓은 분량이다. 따라서 몇 분 이상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러나 사람이 표현할 수 있는 동작이 제한되어 있고, 캐릭터가 사람처럼 생겨야 한다는
단점
이 있어 애니메이션보다는 실사영화에서 더 많이 쓰인다.최근에는 모션 캡처로 배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딴 후, 과장된 동작이 필요한 부분에 키프레임 애니메이션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좀더 ... ...
Intro. 양자역학과 춤을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상상 속의 공간이동장치까지 양자역학이 존재하지 않는 대상은 없다. 양자역학의
단점
은 어렵다는 것. 도무지 상식으론 이해할 수 없는 기괴한 성질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게 만든다. 더구나 슈뢰딩거 같은 천재들의 이름만 나오는 책은 주눅 들게 한다. 머리가 아파온다. 지금 도망칠 준비를 하고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