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위에 다시 갈륨 한 층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원소를 종류별로 차곡차곡 쌓아올린다. 층당
두께
가 나노미터(nm, 1nm=10-9m) 단위밖에 되지 않아 굉장히 얇다.원소들을 층층이 쌓은 결정을 약 1000℃에서 가열하면 질화갈륨(GaN)이 생성되면서 메탄가스는 밖으로 날아간다(MOCVD 공정). 여기에 배터리를 연결해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바람이 불면, 포텐셜 와도의 식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공기 기둥의
두께
가 감소한다. 이때 포텐셜 와도는 보존되므로 분자에 해당하는 절대 와도의 크기도 작아져야 한다. 위도의 변화는 없으므로 행성 와도는 일정하다. 상대 와도의 크기가 작아져서 음의 상대 와도로 바뀌면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알아냈다. 모나리자의 눈이나 머리카락처럼 아주 짙은 부분은 밝은 부분과 물감층의
두께
는 거의 같았으나, 그 위에 광택제를 칠한 층이 20% 가량 더 두꺼웠다. 왈터 박사는 “코에서 머리카락으로 갈수록 광택제 층과 바니쉬층이 점점 두꺼워지고, 그에 따라 색도 점점 짙어졌다”고 설명했다.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둥근 고리를 만든 뒤, 둥근 고리에 비누 막을 만들어 세우면 중력에 의해 비누 막의
두께
가 위쪽은 얇고 아래쪽은 두꺼워진다. 기름 막에 의한 간섭처럼, 간섭을 일으키는 빛의 파장이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원리로 비누 막에서 무지개를 볼 수 있다.●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구를 했다.LED소자를 제작할 때 질화인듐갈륨층과 질화갈륨층을 수 나노미터(1nm=10-9m)
두께
수준에서 교대로 적층하는 양자우물 구조를 주 활성층으로 이용한다. 양자우물 구조 형성시 질화인듐갈륨층 내의 인듐 조성이 20%를 넘기기 힘들어 발광파장의 조절이 쉽지 않다. 또 질화인듐갈륨층 내부의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대각선 길이가 약 20m인 반면 태양돛을 이루는 막의
두께
는 불과 0.0075mm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
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이 태양돛을 이용해 이카로스는 태양의 복사압을 주 추진 동력으로 사용한다. 또 막 위에 덧붙여진 박막 필름 태양전지판을 주 전력 공급원으로 쓰고 역시 막에 내장돼 있는 LCD의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는데 ‘날개폭’이 15cm나 됩니다. 그런데 무게는 고작 0.3g에 불과하지요. 사실 날개의
두께
는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도 채 안 되기 때문에 종이보다 훨씬 얇지요. 땅에 안착한 뒤 소나기라도 내리면 날개는 빗방울을 못 이겨 찢어지고 씨앗이 발아하지요.우리나라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문화재청이 주변의 지하철의 영향을 막고 과거 광화문 유적을 보존하기 위해 70cm
두께
의 철근콘크리트 기초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한 전통 기초공사 방식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이렇게 기초공사를 끝낸 후 1년 4개월 만인 2009년 7월 문루를 떠받치는 기초시설인 육축(陸築)을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설명할 수 있다.비슷한 해석이 핀치 부리의 다양성에도 적용된다. 핀치 부리의 길이와
두께
가 Bmp4와 칼모둘린(Calmodulin)이라는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이 2004년과 2006년 각각 발견됐다. 아핀변환으로 다양한 부리 모양을 해석한 뒤 연구자들은 게오스피자 속에 속한 6종의 Bmp4 유전자의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초 네덜란드의 야코부스 캅테인은 별의 시차를 관측해 우리 은하의 지름이 3만 광년이고
두께
가 6500 광년이며 태양은 중심으로부터 3000광년 안에 있다고 주장했다.1919년에는 미국의 할로 섀플리가 구상성단(수십만 개 이상의 늙은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여 있는 성단)을 관측해 구상성단이 거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