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요소
성분
처소
소재지
위치
d라이브러리
"
소재
"(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
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용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표상의 생명체가 가지지 못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며 “미래 바이오산업의
소재
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전세계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은 2018년 5조5234억 원으로 2014년에 비해 173%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시장조사기관 GIA의 2013년 11월 보고서 ‘Marine Biotechnology A Global Strategic B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정보 하나로 반전을 맞는 사건이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된다. 과학수사 드라마의 단골
소재
이기도 하다. 이젠 변사자가 발견됐다는 뉴스를 보게 되면 열에 아홉은 ‘DNA 검사를 해보면 누군지 알겠지’라며, 오히려 시체로부터 DNA를 검출하지 못하거나 신원을 밝히지 못하면 뭔가 잘못됐다고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접근 방법으로 풀어보겠다는 정도의 제안을 해 왔다. 그는 “노벨상급 좋은 연구 성과는
소재
를 선택하는 방법부터 연구 수행 방법까지 모두 달라야 한다”며 “지금처럼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그런 성과를 내기 힘들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PART 1.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매일 오전과 오후에 만나 티타임을 갖고, 점심 식사까지 같이 하다 보면 결국 대화
소재
는 연구로 귀결된다. 그 결과 탄생한 노벨상급 연구가 한둘이 아니다. 200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토마스 스타이츠 예일대 교수는 노벨재단에 제출한 회고록에 “LMB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내는 동안 티타임과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
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머리카락 두께보다도 훨씬 작은
소재
가 과연 어떻게 이로운 물질로 탄생하게 될지, 연구팀에서 조만간 전해올 좋은 소식이 기다려진다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가상 세계의 침투하고, 꿈을 조작해 무의식 속 의식을 이용해 새로운 기억을 창조하는
소재
의 영화다. 꿈속으로 여행을 많이 하게 될수록 점점 현실과 꿈의 차이를 자각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현실과 가상 세계를 구분하는 수단으로 ‘토템’을 사용한다. 주인공 코브의 토템은 팽이로,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IF)가 급등했다. 2010년 4.7에서 현재 6점대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 가장 단골로 다루는
소재
는 유전자 편집 가위인 ‘크리스퍼’ 기술이다.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물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편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대표되는 장내미생물의 기능에 집착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과학 뉴스의 단골
소재
가 됐다. 뉴스 속 장내미생물은 못하는 게 없다. 비만도 치료하고 우울증도 고치며 면역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건강과 관련한 이야기에서 장내미생물은 초월적 존재처럼 그려지고 있다(이제야 밝혀진 기원을 보니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벨기에 앤트워프와 브뤼셀에서 평생 활동했던 브뤼헐은 성경과 신화에 나오는 이야기를
소재
로 많은 그림을 남겼다. 판화가로도 뛰어나 당대에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가로 1.5m, 세로 1m 남짓인 바벨탑 그림에는 중세의 모든 건축기술이 담겨 있다.브뤼헐이 바벨탑을 그릴 때 참고한 것은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