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어림
손아래임
점화
플로지스톤
열소
d라이브러리
"
연소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99년부터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이들 시설이 완성되면 일본은 핵연료 농축에서 가공
연소
재처리 저장에 이르는 완결된 핵주기를 갖게 된다. 참고로 말하면 우리나라는 이 세가지 시설 가운데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다만 일본은 우라늄 자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우라늄을 플루토늄으로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결합이라고 주장하였다. 라브와지에는 열과 빛은
연소
과정의 화학과는 무관한 것이고
연소
와 산화시의 무게의 변화는 오로지 산소와의 반응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23종의 원소이것은 1백여년 동안 화학자들의 사고를 한정해 오던 플로지스톤설로부터의 해방 선언이기도 했다. 앞에서 지적한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수소가 탈 때 유일한
연소
생성물이 물이므로 공해가 전혀 없는 청정원료이며 높은
연소
에너지를 가져 미래의 에너지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대규모 수소 생산공정 개발을 위해 늪지 호수 바다 등에서 광합성 미생물을 대량배양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나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새로운 에너지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화석연료의
연소
열을 이용하는 기존의 발전기술은
연소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_{2}$) 및 질소산회물(${NO}_{x}$)과 같은 공해물질을 배출하며 터빈 회전에 따른 소음공해를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효율은 높고 공해는 ... ...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등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수소 에너지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을 수 있으며, 수소를
연소
시킬 때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 아황산가스가 아니라 수증기가 나오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현재 수소의 90%는 물을 전기분해해 얻거나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고온에서 ... ...
6 인공위성 수명 어떻게 결정되나? 태양전지판과 추력장치가 핵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비행기용 터빈 엔진을 쓰지 못하고 액체산소와 액체수소 등의 연료를 싣고가 혼합
연소
시켜 추진력으로 쓰며 필요한 전력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발전시켜 공급받게 된다.이렇게 2백㎞의 상공에만 올라가도 지상에서는 절대 얻을 수 없는 극고진공 상태가 된다. 이러한 극고진공은 공기오염이 ... ...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내뿜는 연기와 담배 자체가 타면서 방출되는 연기로 구분되는데, 담배 자체가
연소
할 때 해로운 성분이 더 많이 방출된다. 담배자체가 탈 때 일산화탄소의 경우 8.1배, 타르는 4.3배, 암모니아는 73배나 많이 방출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담배 유해성에 대한 경고와 금연운동이 세계각국으로 확산된 지는 ... ...
저공해 디젤엔진
연소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디젤자동차의 배기기스중에서 인체에 가장 유해한 질소산화물을 3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엔진
연소
실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 됐다.한국과 ... 배출량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 이러한 상황에서 질소산화물을 가장 작게 배출하는
연소
장치를 국내 기술로 개발한 것은 의의가 매우 크다 ... ...
계면(界面)공학, 왜 각광받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는 추세다. 석탄에 관해서도 종전의
연소
후 배연탈황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연소
전 원천 탈황을 적극 장려함이 바람직한 일이다. 반도체 표면처리에도 이용섬유산업에 관련된 계면공학적 현상들을 살펴보자. 요즘 한창 개발되고 있는 고부가 섬유상품의 하나인 자외선차단섬유는 종래의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날아가는 불화살이라는 뜻)이다. 두번째는 1250년 아라비아의 핫산 알라마가 제작한 '
연소
하며 날아가는 달걀'이며 세번째는 1379년 이탈리아의 '로케타'다.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을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고려말 화통도감을 건의해 18가지 화약무기를 만들었던 최무선이 최초의 로켓을 만들었다고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