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생각밖
d라이브러리
"
예상밖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소행성은 두얼굴을 가진다. 끔찍한 재앙인가, 엄청난 자원인가는 전적으로 인류의 노력에 달렸다.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 핵폭탄을 능가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소행성들을 다 모아 가치를 따져 지구상의 사람들에게 각각 나눠주면 한사람당 1백20조원씩이 돌아간다는데….1994년 7월 슈메이커-레 ... ...
동물도 말을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인간은 자신의 기준으로 동물의 세계를 이해하려 한다.그래서 인간처럼 복잡한 언어 체계를 갖고 있지 않은 동물은 생각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과연 이러한 생각은 맞는 것일까.사람은 언어를 통해 경험한 일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물도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흔히 인간과 닮은 ... ...
스티븐 호킹은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호킹 교수는 1942년 의사이자 열대병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의 장남으로 영국 옥스퍼드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대학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전공한뒤 66년 ‘팽창하는 우주의 성질’이란 논문으로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그는 클래식 음악과 공상과학을 좋아하는 ... ...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최근 국제우주정거장 거주모듈 '즈베즈다'가 도킹에 성공했다.즈베즈다의 주목적은 우주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하지만 예정보다 일정이 2년정도 늦었다.1984년 초 미국의 발표 이후 국제우주정거장 계획은 갈팡질팡해왔다.그 속사정을 들춰보자.인류가 지구 밖에서 살아가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609년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 이후 약 4백년 동안 광학망원경은 눈부시게 발전해왔고 그때마다 천문학적 발견이 뒤따랐다.거대망원경을 통해 우리은하의 구조가 밝혀졌고,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현재 건설되고 있는 초거대 광학망원경이 보여줄 우주의 모습을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티코 브라헤는 망원경을 사용하기 전,전시대를 통틀어 가장 정확한 관측을 했다.그는 신성을 발견하고 혜성이 지구대기권 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밝혔다.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최전선에는 천문대와 망원경이 있다. 인간이 지닌 시각을 훨씬 뛰어넘는 많은 빛을 모아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유전자에 대한 전체적인 지도가 그려지고 아니가 단백질 형성이나 질병과 연관된 각 유전자의 기능이 정확하게 밝혀지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바뀌게 될까?도대체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대해 세계 언론들은 왜 그렇게 야단법석을 떨고 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윤리의 파괴'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우리나라에는 공룡 화석이 얼마나 존재할까.현재까지 체계적인 탐사가 부족한 탓에 실제로 발견된 수는 많지 않다.하지만 앞으로 제대로 발굴된다면 세계적인 화석보유국으로 인식될 것이다.특히 공룡과 새의 발자국화석이 대규모로 발견돼 학술적으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1972년 공룡알 화석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하찮은 미물의 대명사로 곧잘 인용되는 곤충.하지만 동물 종의 80%를 차지하는 실질적인 지구의 주인이다.곤충은 조그만 몸으로 온갖 위험 속에서 4억년 전부터 이 땅에 살아왔다.곤충은 자연에 가장 잘 적응한 진화의 결정체인 셈이다.살아남기 위해 상상을 초월하는 기록을 갖게된 곤충의 이야기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극장에 들어섰을때 처음에는 눈앞이 캄캄하지만 곧 주변이 보이기 시작한다.붉은 노을이 물든 황혼 무렵 푸른 소나무의 고유한 색상을 식별한다.현재 컴퓨터가 흉내내지 못하는 사람 눈의 특성이다.인간의 시각을 닮은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산업혁명과 컴퓨터혁명에 이은 제3의 혁명, 즉 인공두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