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d라이브러리
"
예측
"(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데이터를 요리하는 기본적인 레시피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요리하는 걸 한번 보여드릴게유. 오늘 요리할 데이터는 청소년이 좋아하는 온라인 게임의 데이터예 ...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알고리듬이 최고 86%의 정확도로 어떤 사용자가 이탈할지, 게임을 계속 즐길지
예측
할 수 있었습니다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사막메뚜기 떼를 잡지 못하면 6월 경에는 현재보다 500배 이상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측
했답니다.FAO는 사막메뚜기가 휩쓴 동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은 식량 부족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심각하다며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어요. 항공기로 공중에서 살충제를 뿌려 메뚜기를 없애기 위한 노력도 하고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가장자리가 얼마나 빨리 녹고 있는지는 알아차리기 어렵다. 김현철 극지연구소 북극해빙
예측
사업단장은 “숲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숲의 바깥으로 나와야 하는 것처럼 멀리 떨어져야만 제대로 보이는 것이 있다”며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극지에서 길이가 최대 수백km에 달하는 얼음의 면적이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남극 대륙 전체의 빙하 변화를 정량화해 해수면 상승을
예측
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난센 빙붕에서 ‘빙산 C33’이 떨어져 나오는 모습이 아리랑 5호에 포착됐다. ... ...
[한페이지 뉴스] 미래 식량문제, 바다가 답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양식 어업량이 꾸준히 늘면서 2050년에는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
됐다.코스텔로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식량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육상에서 식량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심각한 기후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며 “바다에서 식량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식량 문제를 ... ...
[과동키즈] 과학고 출신 의사에서 국회의원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질병의 발생부터 사망까지의 추이를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학문이다. 이를 통해 질병의
예측
모델을 만들거나 질병 트렌드를 분석하기도 한다. 모든 것이 통계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통계에 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나에게는 꽤 고생스러운 도전이었다. 그럼에도 이때 배운 지식이 한양대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구조가 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박정원 연구위원은 “물질의 성질을
예측
하고, 합성하는 것이 미래 소재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촬영 기술이 앞으로 촉매나 디스플레이, 신약 개발 등 신소재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용어정리그래핀 : 탄소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대단한 데이터 맛집이 정말 많쥬? 데이터만 있으면 어떤 요리도 만들 수 있어유. 게다가 요리는 달라도 기본적인 요리 도구와 순서는 크게 다르지 않아서 여러분도 요리법만 잘 ...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기계학습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어떤 데이터인지 분류하거나
예측
할 수 있습니다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관심사가 됐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북극해 해빙 지도와 해빙 변화
예측
자료는 북극 항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북극의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연구인 셈이다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50년 안에 북미와 동아시아 등으로 와서 지카와 황열병 같은 위험한 질병을 옮길 거라고
예측
했어요. 지구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 두 모기가 지나치게 더워지는 열대지방을 피해 북쪽으로 이동하고, 북미와 동아시아는 모기가 옮기는 질병이 잘 퍼지는 온도에 가까워지기 때문이지요. 그러면 모기가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