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d라이브러리
"
완전
"(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베인 씨는 35년 만에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X파일 3 세상에
완전
범죄란 없다!역시나! 몽이 집을 수색한 결과 뽀로로 인형을 찾을 수 있었어. 이번 일을 통해 과학수사에 DNA 분석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느낄 수 있었지.물론 과학수사에서 DNA 분석 기술만 발달한 건 아냐. CCTV의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룬다는 사실이다. 142857이 가로와 세로의 합이 27로 같지만 대각선의 합이 다른‘불
완전
마방진’을 만드는 것과는 다르다. 19의 순환마디인 18자리의 수가 142857보다 더 신비로운 셈이다. tip 9의 재미있는 성질9×1 = 09 → 0+9 = 99×2 = 18 → 1+8 = 99×3 = 27 → 2+7 = 99×4 = 36 → 3+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발견’이라는 NASA의 주장에 여러 과학자들이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먼저 이 박테리아가
완전
히 새로운 형태의 생명체는 아니라는 관점이 제기됐다. 이 박테리아는 인이 있는 환경에서 더 잘 산다. 인이 없을 때에만 차선책으로 비소를 사용한다. 게다가 이 연구는 실험실에서 이뤄진 것으로 자연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마녀가 다시 나타났어.“방심하지 마라! 가장 어려운 딸꾹질 문제가 남았거든. 이건
완전
어려운 미션이지롱! 뿅!” ‘딸꾹, 딸꾹!’ 딸꾹질이 계속 나와. ‘딸꾹!’ 이러다 평생 딸꾹질 하게 되면 어쩌지? 딸꾹!문제 368년 동안 딸꾹질을 한 ‘딸꾹질의 달인’에게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을 알려 줘랏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8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접두사야.예를 들어‘옥타브(octave)’는 어떤 음에서
완전
8도의 거리에 있는 음을말하고,‘문어(octopus)’는 다리가 8개인 연체동물이지. 또‘팔각형(octagon)’과‘팔면체(octahedron)’에도 oct라는 접두사가 붙어 있어.그런데 ‘October’는 oct라는 접두사가 쓰인 단어인데도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허들을 최대한 낮고 부드럽게 넘는 균형과 리듬감을 자랑했다.박명수에게 배우는 달리기
완전
정복 이제 본격적인 훈련에 들어가 보겠어요. 이번 순서의 조교인 명수 씨가 저기 달려오고 있네요. 자세를 한번 보세요. 저렇게 엉거주춤하게 어깨를 많이 흔들면서 뛰면 속도를 내기 힘들어요.사실 저는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문제가 있음을 밝혔지요. 그 후 1963년 폴 코헨이라는 수학자가 연속체 가설이 괴델의 불
완전
성의 정리에 따라 증명할 수 없는 문제임을 보여 3년 뒤 수학계 최고의 영광인 필즈상을 받았어요. 연속체 가설의 종지부를 찍는 순간이었죠.tip ‘집합론’의 창시자, 칸토어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일대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
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찰칵찰칵.” 카메라는 추억을 담는 그릇이다. 평생 함께할 추억이기에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남기고 싶다. 내 카메라에 적힌 숫자의 의미를 바로 아는 것이 큰 힘이 된다.사진의 화소는 그물의 구멍 친구가 이번에 1600만 화소 카메라를 샀다고 자랑이다. 3년 전에 최신 기종이라고 산 내 카메라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리고 다음 사이클이 시작된다.물 마시는 방식도 가지가지한편 돼지나 소, 양, 말처럼
완전
한 볼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동물들은 번거롭게 혀를 이용해 물을 마실 이유가 없다. 볼이 완벽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주둥이를 물에 담그고 ‘쭉’ 빨아 당기면 쉽게 물을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주의를 환기시키는 차원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특히 면역 시스템이 불
완전
한 어린이는 전자파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이를 미리 차단하려는 의도도 있다”며 “최근 선진국에서는 초·중등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정하려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