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부위원
정부
역원
중역
국
부
이사
d라이브러리
"
위원
"(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는 왜행성 ‘하우메아’에 고리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스페인 국립과학연구
위원
회(CSIC) 산하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IAA)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하우메아는 해왕성 너머에서 2003년 처음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월 4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수요일 오전이었다. 필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의학연구
위원
회(MRC·Medical Research Council)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에서 오후에 있을 전자현미경 실험을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복도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나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달이 돌아왔다. 올해는 중력파가 물리학상을 거머쥘 것으로 예측됐는데, 노벨상
위원
회는 대중의 이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고 이듬해 물리학상이 주어진 것과 비슷한 패턴이다. 중력파는 2015년 9월 처음 관측된 이후 2016년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야별로 특화된 국방연구소 DRDC의 전신인 국방연구
위원
회(DRB)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7년 4월 설립됐습니다. 캐나다 군대(지상군, 해군, 공군)에 무기를 공급하기 위한 군 내부 연구 개발 부서로 운영되다가 3군이 통합되면서 2000년 4월부터 국방부 소속으로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곽승재 주장을 만나기 위해 찾은 퍼즐 국가대표팀 훈련장. 인터뷰에 앞서 기자도 국가대표 선수와 똑같이 제한시간 40분 동안 스도쿠 사전 테스트 문제에 도전해 봤다. 클래식 스도쿠 하나를 푸는데 15분을 허비한 탓에 8문제 중 3문제밖에 풀지 못했다. 그렇다면 곽 주장은? 8문제를 10분 만에 모두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전자를 보고, 정자의 변이 유전자를 교정했다고 착각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박 연구
위원
은 “유전자 교정을 할 때 발생하는 결실은 대부분 염기 10~20쌍(베이스페어·bp) 정도”라며 “하지만 큰 결실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큰 결실이 있었는지를 추가로 확인하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독립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브랜다이스대 팀과 치열한 경쟁 관계였다. 노벨상
위원
회가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한 인터뷰에서 영 교수는 “달리기 시합과도 같은 연구 경쟁을 통해 서로의 퍼즐조각을 맞춘 결과 분자시계 작동 모델을 확립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들이 협력으로 완성한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처음이다. 단위자문
위원
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
위원
회(CIPM)에 올렸다. 내년 6월 CIPM에서 한 번 더 검토를 마치면 2018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 플랑크 상수값을 확정할 것을 권고한다. 행정상의 큰 문제가 없다면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단위 재정의를 승인하고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늘릴 수 있게 합의했다. 쉽게 말해 사거리에 따라 탄두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연구
위원
은 “결국 추진체의 크기와 성능은 제한한 셈”이라면서도 “트레이드오프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 만큼 궁극적으로 추진체 성능에 대한 제약도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포토 뉴스] 암흑물질 찾는 제논1T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18~25세와 17세 이하 부문 금메달 등 총 5개의 메달 수상자가 결정됐다. 수상작 외에도 심사
위원
이 선정한 작품 100개는 영국 전역에서 전시된다. 위 사진은 올해 26세 이상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제논1T(Xenon1T)’ 내부다. 이탈리아의 과학전문 사진작가 엔리코 사치티가 찍었다. 제논1T는 2015년 11월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