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논리가 정확하게 담겼는지에 따라 평가를 다르게 할 예정입니다. 또한 여러 과목을 융합해 과목을 넘나드는 주제로 수학 글쓰기를 익힙니다. 글을 이끌어 가는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수학책이면 더 좋지만, 분야에 상관없이 책을 많이 읽으면 글쓰기에 도움이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동시에 2개의 알을 낳는 반면, 조류는 난관이 하나뿐이라는 점이다. 또 공룡은 치골 끝이 융합돼 있어 상대적으로 큰 알을 낳지 못하는 반면, 조류는 치골 끝이 벌어질 수 있어 몸집에 비해 큰 알을 낳을 수 있다. 새처럼 알을 품는 포란 자세로 보존된 화석들(오비랍토르류, 트로오돈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뤄진다.” 작년 11월 SW기업 한글과컴퓨터의 김상철 회장이 홍익대와 ‘SW산업과 예술의 융합’ 산학협력을 체결하면서 한 말이다. 예술에 소프트웨어를 접목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빅뱅, 투애니원, 소녀시대, 싸이 등 K-POP 스타들은 홀로그램을 이용해 세계 곳곳에서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알 수 있다. 이런 방법론을 ‘생물계절모형’이라고 부른다. 손경수 기상청 기상기술융합팀 주무관은 “매일 관측된 기온 변화를 개화 예측에 바로 반영할 수 있는 생물계절모형을 개발했고, 2년 전부터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봄의 ‘온기’로 개화 시간 안다이 모형은 10여 년 전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환경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연구 분야를 “그야말로 융합학문”이라면서 “여러 관심분야를 가진 학생이 우리 학부에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정확하고 몸에 해롭지 않은 재료를 써야 했다. 결국 두 가지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융합해 소년에게 딱 맞는 맞춤형 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포항에서 만든 관을 들고 출발해 다음날 오전 수술 방에 들어가기도 두 차례. 결과는 성공이었다. 콧속이 아물면서 점막이 만들어지고 소년이 스스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없습니다. 처음 기초원리를 발견한 사람이 응용할 때 시너지도 더 큽니다. 특히 MRI 같은 융합과학에는 경계가 없습니다. 우리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는 학생들은 전자공학은 물론이고 해부학, 생리학도 알아야 합니다. 의사들이 원하는 것을 알아야만 좋은 MRI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할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파킨슨병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다.의학과 IT가 융합되고 있는 시대다. 백 교수는 “맞춤의학을 위해서는 데이터 예측 모델링 방법에 능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장 소프트웨어 코딩을 배우라는 뜻은 아니다. 그보다는 먼저 수학 이론을 충실히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KAIST가 개발한 DRC휴보2와 로봇기업 로보티즈가 개발한 똘망2가 출전한다. 박재흥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도 출전을 준비하고 있지만 로봇은 로보티즈의 똘망을 구매해 사용할 예정이다. 한국계 미국인 교수인 데니스홍 UCLA 교수팀도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출전을 준비하고 있다. 휴보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모으는 등 새로운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김연상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와 권순형 전자부품연구원(KETI)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떨어지는 물방울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방울 전기생산은 10여 년 전부터 연구돼 왔는데, 주로 물방울을 누르는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