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소프트웨어(이하 SW) 수업에서는 학생이 재미있어하는 스마트폰 앱이나 로봇, 게임 등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가르친다. 하지만 흥미 위주의 수업만 고집하면 저작권과 개인정보보호 같은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소홀하기 쉽다. 그런데 여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학교가 있다. 프로그래밍 지식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결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점을 1번 꼭짓점으로 정하면 이 그래프는 앞사람 d명 이하와 악수한 그래프 H가 됩니다.그동안 에르되시-버어 추측은 부분적인 결과만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박사가 지난 2015년 r(H)≤f(d)n을 만족하는 함수 f를 찾아내 40년 난제인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했습니다. 이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약 7cm로 전체 무게는 900g 정도로 추정된다. 오늘날 농장에서 자라는 집닭의 절반 이하로 크기가 작았지만, 위상은 남달랐다. 미래를 내다보듯 제시간에 우는 습성과 당당한 걸음걸이, 붉은 볏은 전 세계적으로 신성시됐다.철학자 소크라테스는 독약이 자신의 발을 마비시키자 친구 크리톤에게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찾기 좋은 또 다른 장소는 사람의 발이 아예 닿지 않았던 곳이에요. 예를 들어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바다인 심해는 고성능 잠수함이 개발되기 전까지 사람이 들어가거나 들여다볼 수도 없는 지역이었어요. 이 때문에 생물도 거의 발견되지 못했어요. 심해 생물은 현재까지 약 3%가 알려진 상태로,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아홉 장이면 ‘당단풍’이지요.‘복자기’와 ‘복장나무’는 단풍나무과에 속하지만, 특이하게도 각각 잎자루가 붙어 있는 작은 잎이 세 개 모여 있는 형태를 하고 있어요. 이런 잎을 ‘복엽’이라고 해요. 복자기는 잎 위쪽에 큰 톱니 하나가 있는 반면, 복장나무는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돋아나 ... ...
- Part 4. 도시를 바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1971년 한 해 동안 자동차 사고로 3,300명 이상 사망했고, 이 중 400명 이상이 14세 이하의 어린이였어요. 시민들은 자동차 사고가 끊임없이 생기자 사고를 줄일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했어요.다양한 의견이 모아진 결과, 정부의 자동차 위주의 정책을 자전거 중심으로 완전히 바꾸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내리는 비는 pH5.6~6.5 정도로 약한 산성을 띠지요. 그리고 이보다 더 강한 산성을 띠는 pH5.6 이하의비를 ‘산성비’라고 해요.그렇다면 보통 비와 달리 산성비가 우리 몸에 더 해롭다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산성비가 내리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기류가 생긴다.➌ 수증기가 찬 공기덩어리를 따라 급격히 상승한다.➍ 대기의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는 높이에 이르면 수증기가 서로 엉겨붙거나 얼며 구름을 만든다.➎ 적란운의 수명은 약 1~2시간이기 때문에, 국지성 호우는 짧은 시간동안 내린다.융합 개념 파헤치기지난 8월 12일, 경북 경산의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예를 들어 무게가 136톤 이상인 ‘헤비급’ 비행기가 먼저 이륙한 경우, 무게가 17톤 이하인 ‘라이트급’ 비행기는 최소한 158초를 기다렸다가 와후류가 사라진 뒤에 이륙을 시도해야 합니다.와후류는 날씨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비행기의 무게와 달리 온도와 습도, 풍속 등은 변화무쌍합니다. 이럴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중인 채석장을 연상시켰다. 11월 2일 오후 1시, 기자는 대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에서 열린 ‘백두산 샘플파티’에 참석했다. 국내 연구진 14명이 7월 30일부터 8월 12일까지 세 번에 걸쳐 백두산에서 채취한 암석 샘플 약 300kg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자리였다. 화려한 조명과 음식이 준비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