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d라이브러리
"
작고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뇌와 간, 신장 같은 기관의 단면을 관찰했다. 일반적인 MRI 조영제보다 훨씬 크기가
작고
밝은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나노입자 조영제를 사용한 덕에 일반 MRI로 촬영했을 때보다 더 선명하고 정확한 사진을 얻었다. 또한 나노입자에 암세포를 추적하는 항체를 부착한 결과 일반 MRI로는 확인하기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그리고 최근 휴대전화나 PMP, MP3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기기가 크게 늘어나면서 좀 더
작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해졌어요. 그래서 짜잔~! 터치 스크린이 등장한 거예요.터치 스크린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키패드나 키보드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이 잘 안 닦인다. 그런데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에 한쪽은 극성이
작고
반대쪽은 극성이 큰 부분을 같이 갖고 있다. 동물로 치면 박쥐와 같다고나 할까. 계면활성제 분자의 기름 같은 부분이 기름 표면에 달라붙고 물처럼 극성이 크거나 물을 좋아하는 이온인 부분이 물을 향해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알바는 무릎 높이밖에 안 된다. 흰 꽃(학명의 알바는 ‘희다’라는 뜻이다)은 꽃잎도
작고
생김새도 단순하다. 6개의 꽃잎 가운데 하나만 노란 반점이 있는 것도 특이하다.“프리지아 알바는 병충해에 무척 강합니다. 앞으로 이런 특성을 반영해 아름다우면서도 튼튼한 품종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대도시 하나를 날려 버릴 정도다.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부 최영준 박사는 “더
작고
어두운 천체를 찾으려고 노력하다 보니 그 노력의 부산물로 태양계 외곽에 있는 소천체인 카이퍼벨트천체(KBO)도 많이 발견했다”고 밝혔다. 작은 소행성이나 멀리 있는 KBO나 똑같이 어둡게 보인다. 사실 200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안점을 보면 짧은 세대 동안에도 커지거나 아예 없어지기도 한다는 구려. 이런 예를 볼때
작고
숨겨진 변이들이 큰 진화적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는 식이오. 다시 말해 작은 진화들이 생물 집단에존 재하다가 적절한 환경에 노출되면 동반 작용을 일으켜 거대한 진화를 일으킨다고 ... ...
진화론 논쟁 감상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먹는 방울새의 부리는 뭉툭하게 돌출돼 있는 반면, 작은벌레는 먹는 방울새의 부리는
작고
정교했다. 다윈은 이와 같은 부리의 구조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방울새의 부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과정을 추측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방울새가 각 섬마다 자연환경이 다른 매우 특이한 환경 을 ... ...
지구의 끝, 남극으로 떠난 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람이 유달리 매서운 어느 날, 아기 젠투펭귄이 작은 부리로 알을 깨고 나왔어요.
작고
가냘픈 울음소리로 세상과 처음 대화를 하기 시작했지요.아기 펭귄이 태어나는 시기는 대략 12월이에요. 4월이면 남극에 겨울이 찾아오기 때문에, 아기 펭귄은 생후 3~4개월 만에 독립을 해야 해요. 그렇다보니 ... ...
컴퓨터로 되살아난 클레오파트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역 고대 이집트인은 아프리카 흑인과 아랍계 백인의 혼혈에 가깝다. 여기에 키는 다소
작고
길고 좁은 얼굴뼈에 곱슬머리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클레오파트라를 150cm의 작은 키에 약간 통통했다고 묘사한 역사서나 미술품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현재 백인 여성 대부분의 코는 오뚝하고 ... ...
그림으로 보는 '원자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현대인에게도 원자론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개념이다. 눈에 보이는 딱딱한 사물이 어떻게
작고
작은 알갱이로 구성돼 있단 말인가. 필자는 과학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그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할 길이 없다. 한 과학자의 설명에 따르면 사물이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음전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