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d라이브러리
"
전염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감기약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미국 버지니아의대의 프레드릭 헤이든 박사는 지난 12월 17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한
전염
병학술회의에서 플레코나릴(Pleconaril)이라는 감기 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엑스턴에 위치한 바이로파머 제약회사의 후원으로 개발된 이 감기 치료제는 지난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또한 미국의 홈즈는 1843년에 발표한 자신의 논문에서 산욕열이 산모에게 전파되는
전염
성 질환이며 청결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발표했으나 젬멜바이스가 당했던 것과 똑같은 반발을 당한 후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 노력하지 않았다. 덕분에 홈즈는 역사의 선구자는 되지 못했지만 정신병동 ... ...
에이즈 백신 안전성 입증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으로 나타났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는 올해 3월부터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전염
병연구소에서 에이즈 환자 20명에게 자신이 개발한 에이즈 치료 백신 ‘GX-12’를 투여한 결과 별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또 GX-12는 미국 뉴멕시코주 알라마고르 도시에서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중국의 도시 상공에 뿌렸으며, 페스트를 보균한 벼룩이 가득 찬 포탄을 쏘아 페스트를
전염
시켜 수많은 인명을 살상했다. 나치독일과 옛소련도 생물무기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이 생물무기의 개발과 실험작업의 중단을 의미하지 않았다. 1972년 4월 ‘세균성 그리고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9월 18일 국외에서 처음 발견된 님다(Nimda) 바이러스는 당일 국내에 확산될 만큼 놀라운
전염
성을 보였다. 이것은 감염 경로가 매우 다양하다는 님다의 독특한 특징 때문이었다. 일반적으로 님다라는 이름은 시스템 관리자의 영문철자(Admin)를 거꾸로 해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하지만 초기에는 미국 ... ...
탄저균 혈액세포 침투 막는 항체 개발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완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급진전되고 있다. 최근 AP 통신은 미 육군
전염
병연구소 연구팀이 탄저균의 독소에 저항하는 항체를 개발, 텍사스대에서 동물 실험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탄저병에는 피부 탄저병, 호흡기 탄저병, 소화기 탄저병이 있는데 이 중 호흡기 탄저병이 가장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진공청소펌프를 이용해 수정궁 안의 엄청난 먼지를 모두 빨아들였다. 먼지와 함께
전염
병을 일으키는 세균도 사라졌다. 당시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을 위해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 참석했던 독일, 러시아, 프랑스의 국가 원수들은 진공펌프의 엄청난 위력을 눈으로 보고는 자신들도 그 청소기를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매일 엄청나게 쏟아지는 하수를 처리하지 않는다고 가정해보자. 아마도 모든 종류의
전염
병이 창궐하고 사람들은 생존의 기반을 잃을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하루 약 2천만t의 오폐수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 생활하수가 약 78%로 가장 많고 산업폐수는 21%, 축산폐수는 1%를 차지한다. 이러한 하수는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소프트웨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감기가 유행할 때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거나,
전염
병이 유행하는 지역으로 여행을 삼가는 것과 유사한 방법이다. 즉 생물학 바이러스의 보균자일수도 있는 대상과 가능한 접촉을 피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것처럼, 컴퓨터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브레이크’에서 다뤘던 에볼라 바이러스일 것이다. 실제로 에볼라 바이러스는 물을 통해
전염
되며 감염 후 48시간 안에 죽음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 음모론의 핵심은 에이즈 바이러스가 아니라 실제로 강대국들이 생물학전 병기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인공의 세균에 대해 아무런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