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d라이브러리
"
제어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작용이 잘못된다면 전두 연합령의 선택적 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감정
제어
기능에는 세로토닌이 작용한다. 세로토닌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로 대뇌변연계에 영향을 미쳐서 감정을 조절한다.공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 두 물질의 작용을 조절하면 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흡수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조절한다. 이를 위해 연료 중간중간에 분열 속도를 늦추는 ‘
제어
봉’을 꽂는다.
제어
봉은 붕소로 돼 있는데, 우라늄의 핵분열을 시작하고 가속화시키는 입자(중성자)를 흡수해 전체적인 반응속도를 조절한다. 물 같은 냉각재를 써서 원자로를 식히기도 한다.토륨은 반대다. 핵분열을 해도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결국 높이 30m에 이르는 거대한 제방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런 제방으로도 모든 홍수를
제어
할 수 없었다. 가끔 제방이 터졌는데, 그럴 때마다 강의 흐름이 바뀌었다. 강이 큰 만큼 홍수도 컸고 물줄기도 심하게 바뀌었다. 실제로 타이 산(태산)을 기준으로 남쪽을 지나기도 하고 북쪽을 지나기도 할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번 연구에서 드라이버 노드가 반드시 중심에 위치하지 않아도 정보를 잘 전달하고
제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빠른 만큼 위험하기도 해트위터는 멱급수 함수로 이뤄진 구조와 리트윗 덕분에 정보의 전파속도가 빨라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언론사보다 훨씬 빨리 정보를 전달한다. 지난 해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대신 커다란 덩어리를 둥근 날로 깎아 물건을 인쇄하는 프린터도 있다(컴퓨터 수치
제어
조각 방식). 쾌속조형방식에 비해 곡선부분이 매끄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컵처럼 안쪽으로 들어간 모양(언더컷)은 날이 안쪽까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만들기 어렵다. 한 덩어리에서 물건 하나가 나와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문어는 다시 다리를 스르륵 풀었다. 카메라가 어항 전체를 비추자 문어 다리 끝에 붙은
제어
장치가 드러났다.“뭐야, 이거 진짜 문어가 아니네?”영상 속 주인공은 로봇이었다. 하지만 말랑말랑한 표면은 물론 흐느적거리는 움직임이 분명 문어다. 로봇이 어떻게 이렇게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 ...
일단 ‘딸칵’, 켜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전원처럼 눌러도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종류도 있어요.반면 산업용 기계나 자동
제어
기기에는 ‘토글 스위치’를 사용해요. 스위치 위쪽에 세로로 튀어나온 막대 모양이에요. 이 막대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 전기를 연결하거나 끊지요.작은 버튼을 옆으로 밀어 조절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는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가능하다는 사실을 1950년대에 발견했다.이렇게 불수의근이나 자율신경계를 우리 의지로
제어
하는 기술이 바로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이다. 특히 뇌파를 통제하는 바이오피드백 기술을 신경이란 의미의 접두사 뉴로(neuro-)와 결합해 뉴로피드백(neurofeedback)이라 부른다.원하는 뇌파를 더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현재 아리랑위 성1호가 임무를 마치고 통제 불능 상태다. 항공우주연구원 비행역학
제어
팀의 김해동 박사는 “시뮬레이션 결과 아리랑위성1호는 40여 년 뒤에 대기권으로 돌입할 예정이지만 무게가 1t을 넘지 않아 파편이 떨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과거 미국이 우주왕복선을 운용하고 있을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철도연은 매우 작고 가벼운 잠자리가 강풍 속에서도 자세를
제어
하고 비행할 수 있는 비결이 공기역학적으로 잘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가정 하에 잠자리 날개처럼 일정한 패턴의 망사로 도배한 모형열차가 더 빨리 달릴 수 있는지 실험하고 있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