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지구를 덮은 생물막 정체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미생물과 미생물이 자라면서 분비한 다당류, 단백질, DNA, 영양분, 수분 등으로 가득 차 있어요. 이중 당 분자 여러 개가 이어진 ‘세포외 다당류(EPS)’는 미생물을 보호하고 생물막 구조를 단단하게 만들죠. 생물막은 미생물의 생존 전략인 셈이에요.여러분이 이에서 긁어낸 생물막은 얇은 막이지만,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보내준 커피콩 자루에 건초를 넣고, 높이 매달아 주는 거예요. 그럼 도도가 땅을 박차고 날아올라 발톱으로 자루를 낚아채며 노는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어느덧 상처를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온 도도가 앞으로도 먹보와 함께 건강하고 행복한 일상을 보내길 바라봅니다.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높아요. 해가 진 뒤 스마트기기에 에코미터를 꽂아 소리를 찾아보세요. 낮에는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지 않은 다리 밑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 박쥐를 종종 만날 수 있답니다.”대원들은 류흥진 연구원께 7월 한 달 동안 집 근처 강가나 하천에서 박쥐의 소리를 찾는 미션을 받았어요. 이 데이터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벌써 몇 년 째 제비가 찾아와 둥지를 틀고 알을 낳는 곳”이라고 설명했어요. 6월은 1차 번식을 마치는 시기로 이날 둥지 안에는 4개의 알이 들어 있었어요. 알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대원들은 정다미 연구원의 지도 아래 셀카봉과 거울을 활용해 안전하게 둥지 안을 관찰했답니다. 알을 ... ...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영상을 올리려 할 땐, 유해 영상물인지 확인하지요. 유해 영상물을 올리려 한다면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예요. ETRI가 개발한 기술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유해 영상물도 찾아내고 있어요. 연구를 이끈 이남경 책임연구원은 “현재, ETRI의 인공지능 검출 기술은 유해 영상물을 99% 이상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해 보자는 연락이 왔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죠. 결국 이 작품이 MOY 투표에서 1등을 차지했답니다. 준형 님은 “MOY로 선정돼 놀랐다”며 “앞으로도 메이킹을 꾸준히 할 생각”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수정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경아 차의과대 의생명과학과 교수는 “난포액은 난자를 성장시키고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들과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스톡홀름대의 연구로 추측해 보면 난포액에 난자가 정자를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소기를 제작하고 시험하고, 다시 설계를 바꾸는 시행착오를 2014~2016년 지속했다. 10여 차례의 설계 변경과 20회가량 연소 시험을 진행한 끝에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결할 수 있었다.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며 2018년 11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은 어렵게 연소 불안정 문제를 해결한 75t급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DNA 구조처럼 3차원의 문제를 푸는 데 많은 도움을 줬지만, 3차원에 한 차원을 더한 4차원에서의 매듭이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거든요. § 희망고문상 §논문 출판 결정됐지만 수학계 인정 못 받은 수학자 자신의 증명이 검증되기를 8년째 기다리다가 결국 자신이 편집장으로 있는 학술지에 논문이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필요로 할 겁니다. 충분한 양의 에너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경제 수준에 따라 기술의 격차가 발생할 것은 분명합니다. 핵융합 발전소는 지금까지 운영돼온 그 어떤 발전소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이 미래사회를 맞이하기 전 핵융합 에너지가 반드시 실현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